제14강 자문화교육과 타문화교육
10.1 자문화교육
1. 교육의 맥락으로서 자문화
○ 교육은 사람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공유하고 있는 문화를 적용하면서 살아가는 삶 속에서 진행됨
○ 내가 속한 조직이나 지역의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를 자문화라고 함
○ 내가 교육에 참여할 때 나에게 일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자문화임
2. 자문화의 영향을 받는 교육
○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라는 두 사람의 만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전체 자문화 목록의 영향을 받게 됨
○ 동일한 교육에 참여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전체 자문화 목록은 더 많아지므로 그 영향 또한 복잡하게 나타나게 됨
○ 일반적으로 교수자의 지위가 높아 그가 가지고 있는 문화가 교육의 상황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침
3. 교육의 소재로서 자문화
○ 자문화는 일차적인 배움의 대상으로서 자문화를 배우지 않고는 자문화에 따라 사는 것이 불가능함
○ 자문화는 이것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조직이나 지역에 처음으로 진입하는 사람들에게는 배움의 대상이지만 기존의 사람들에게는 가르침의 대상임
○ 교육은 자문화를 소재로 하여 그 앎의 수준을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끌어올리는 데 개입함
4. 자문화 이해의 수준향상
○ 자문화는 저절로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러 알아가야 하는 것임
○ 자문화를 잘 활용하는 만큼 그것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말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 앎을 뒷받침하는 이해수준이 높아야 함
○ 자문화를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하면서 동시에 그에 대한 앎을 심화시키는 작업을 동시에 하지 않으면 이해수준을 높일 수 없음
5. 자문화중심주의의 극복
○ 모든 것을 자문화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을 인류학에서는 자문화중심주의(ethnocentrism)라고 함
○ 자문화중심주의의 부정적 극단에서는 자문화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 또는 추정만으로도 다른 사람들을 향한 반인권적 행위들이 정당화되곤 함
○ 자문화를 인정한다고 해서 타문화의 존재 자체를 부정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타문화 역시 그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자문화이기 때문임
6. 자문화를 넘어서는 교육
○ 삶에서 자문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삶에 대한 그 규정성은 클 수밖에 없음
○ 교육은 문화를 내면화하는 것 자체에 주목하기보다는 그 수준을 높이는 데 주목함
○ 교육에서는 자문화에 대한 기존의 접근을 당연한 것으로 전제하지 않고 다른 접근의 가능성을 열어놓음
○ 교육은 자문화로 들어가는 길을 안내하는 통로인 동시에 자문화에서 나오는 길을 안내하는 통로이기도 함
10.2 타문화교육
1. 교육의 맥락으로서 타문화
○ 우리는 언제나 타문화에 접하면서 살고 있고 타문화에서 필요한 것을 자문화로 전환시키면서 살 수밖에 없음
○ 교육에서 다루는 소재들 중에는 타문화의 산물이 적지 않지만 그것을 교육의 소재로 선별하는 기준은 자문화에 해당하는 것임
○ 가르치는 사람들이든 배우는 사람들이든 우리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타문화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함
2. 타문화의 영향을 받는 교육
○ 우리는 언제나 자문화뿐만 아니라 타문화에 둘러싸여 살고 있다고 보아야 함
○ 모든 문화는 그 문화를 가지고 있는 당사자에게는 자문화이지만 그 문화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타문화가 됨
○ 타문화의 산물이라고 해서 배제할 이유는 없지만 문제는 그것을 교육의 소재로 선정하는 안목과 관련된 자문화의 수준임
3. 교육의 소재로서 타문화
○ 우리는 타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과 끊임없이 교류하고 있으며 그 문화를 잘 아는 것이 교류를 주도할 수 있는 역량의 일부가 되고 있음
○ 타문화를 직접 접하는 삶의 현장에서 타문화를 교육의 소재로 삼는 것은 불가피함
○ 타문화에 대해서 그 문화가 직접 활용되는 현장이 아닌 별도의 공간에서 별도의 프로그램에 따라 가르치고 배울 수 있음
4. 타문화 이해의 수준향상
○ 타문화에 대해 잘 아는 것이 그 문화를 온전히 자문화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타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으려면 적어도 그 문화가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아야 하고 자신도 그 맥락에 적합하게 그 문화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함
○ 이것은 그 문화에 대한 앎이 수준이 높아져야 가능한 일임
5. 타문화중심주의의 극복
○ 타문화만 가치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자문화는 가치 없는 것으로 배제하는 타문화중심주의는 자문화의 가치를 중시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규정하는 용어임
○ 사람들의 삶이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면서 자문화와 타문화의 경계도 점점 흐려지고 있음
○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자문화의 고유성을 드러내고 그것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활동은 점점 소수의 활동이 되고 있음
○ 자문화에 대한 이해지평을 넓히면서 타문화에 대한 안목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
6. 타문화를 넘어서는 교육
○ 문화를 활용하여 생성해낸 산물들이 비교되고 그 중 어느 하나가 다른 것들에 비해 비교우위를 차지하게 되는 현실을 부정할 수는 없음
○ 여기서 타문화를 자문화로 전환하고 이를 공유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자문화보다 타문화가 더 낫다고 판단하는 기준임
○ 또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타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역동을 볼 수 있는 안목의 수준을 높여나가는 것임
강의 요약
○ 자문화와 타문화는 모두 교육의 맥락임
○ 자문화와 타문화는 또한 교육의 소재이기도 함
○ 교육에서는 자문화중심주의와 타문화중심주의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자문화와 타문화를 넘어서야 하는 과제가 있음
'문화와교육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교양학과, 교육문화학 등 방통대 문화와 교육 핵심 정리 16. 박물관: 문화와 교육의 장 (0) | 2023.02.06 |
---|---|
문화교양학과, 교육문화학 등 방통대 문화와 교육 핵심 정리 15. 교육문화 분석 (0) | 2023.02.03 |
문화교양학과, 교육문화학 등 방통대 문화와 교육 핵심 정리 13. 사이버문화와 사이버교육 (2) | 2023.02.01 |
문화교양학과, 교육문화학 등 방통대 문화와 교육 핵심 정리 12. 문화교육의 장들 (0) | 2023.01.31 |
문화교양학과, 교육문화학 등 방통대 문화와 교육 핵심 정리 11. 교육의 시장화와 대안 모색 (1) | 202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