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장 가족관계의 의미
☞가족관계의 역할- ①규범과 가치의 전달 ②입법적 자녀의 지위부여 ③합법적 상속 ④인간발달에 대한 공헌
☞가족관계 연구 목적- 다양하고 급변하는 가족을 이해하고 가족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기 위한 것
☞듀발과 밀러의 가족관계 연구 목적
①광범위한 가족생활 전반을 알기 위함
②보편적으로 사회에서 적용되는 왜곡되고 잘못된 생각을 시정하기 위함
③가족과 관련된 비정상적이거나 또는 병적 편견을 정상적인 생각으로 전환시키기 위함
④개인이 사회의 중추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실히 인식시키기 위함
⑤인간발달과정에 대한 가족생활의 기여에 대해서 알기 위함
⑥자기 가족을 올바르게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함
⑦가족과 관련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가능성을 예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키우기 위함
⑧가족 생활주기에 따라 발생되는 개인적이고 가족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키우기 위함
⑨주어진 환경과 여건에 적응하며, 자기 가족의 문제 해결에 대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키우기 위함
☞메큐빈과 달(가족 연구에 유용한 이론)-①가족 생태학적 접근 ②역사적 접근
③상호작 용론적 접근 ④발달론적 접근
☞화이트와 클라인(가족 분석이론으로 제시)- ①사회적 교환 및 선택론 ②사회적 상호 작용론 ③가족 생애과정 발달론 ④체계론 ⑤갈등론 ⑥여성주의론 ⑦생태론
☞가족 생태학적 접근(브론펜브렌너)- 가족을 생태학적 환경 특히 보다 큰 사회제도 관계망의 일부분으로서 검토할 것을 제안
- 개인과 가족이 ①미시체계, ②외부체계, ③거시체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강조
☞역사적 접근(사회학자 엘더 주니어)- 생애과정 내에 매물된 인간관계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관계를 ①개인시간, ②사회적 시간, ③역사적 시간의 3가지 차원에 관련된 것으로 보았다
☞구조기능론적 접근 -가족은 사회체계를 간주되고, 가족이 보다 큰 사회를 위해 핵심적인 기능을 수용하는 것으로 여긴다
가족의 기능-①노동력 재생산 ②자녀양육 ③사회의기본적인 규범과 가치를 습득하는 사회화가 포함된다
☞상호작용론적 접근- 조지 미드의 연구를 기초로 하며, 가족을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단위로서 간주한다(대인간 행동에 중점을 둠)
☞교환론적 접근 -보상과 비용의 중요성을 강조
☞발달론적 접근 - 지위, 역할연속, 역할 집합체
☞현대 가족관계의 역동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 ①가족 생태적 접근 ②역사적 접근 ③구조기능론적 접근 ④상호작용론적 접근 ⑤교환론적 접근 ⑥발달론적 접근 등의 이론이 유용하다
'가족관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11. 부모자녀관계 (14) | 2022.10.26 |
---|---|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10. 부부관계 (0) | 2022.10.25 |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8. 약혼과 결혼 (0) | 2022.10.24 |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7. 배우자 선택 (0) | 2022.10.24 |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6. 결혼 준비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