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관계학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9. 가족관계의 의미

728x90
반응형

9장 가족관계의 의미    

가족관계의 역할- 규범과 가치의 전달 입법적 자녀의 지위부여  합법적 상속 인간발달에 대한 공헌

가족관계 연구 목적- 다양하고 급변하는 가족을 이해하고 가족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기 위한 것

듀발과 밀러의 가족관계 연구 목적

광범위한 가족생활 전반을 알기 위함

보편적으로 사회에서 적용되는 왜곡되고 잘못된 생각을 시정하기 위함

가족과 관련된 비정상적이거나 또는 병적 편견을 정상적인 생각으로 전환시키기 위함

개인이 사회의 중추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실히 인식시키기 위함

인간발달과정에 대한 가족생활의 기여에 대해서 알기 위함

자기 가족을 올바르게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함

가족과 관련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가능성을 예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키우기 위함

가족 생활주기에 따라 발생되는 개인적이고 가족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키우기 위함

주어진 환경과 여건에 적응하며, 자기 가족의 문제 해결에 대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키우기 위함

메큐빈과 달(가족 연구에 유용한 이론)-가족 생태학적 접근 역사적 접근

                                        상호작 용론적 접근 발달론적 접근

화이트와 클라인(가족 분석이론으로 제시)- 사회적 교환 및 선택론 사회적 상호 작용론 가족 생애과정 발달론 체계론 갈등론 여성주의론 생태론

가족 생태학적 접근(브론펜브렌너)- 가족을 생태학적 환경 특히 보다 큰 사회제도 관계망의 일부분으로서  검토할 것을 제안

개인과 가족이 미시체계, 외부체계, 거시체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강조

역사적 접근(사회학자 엘더 주니어)- 생애과정 내에 매물된 인간관계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관계를 개인시간, 사회적 시간,   역사적 시간의 3가지 차원에 관련된 것으로 보았다

구조기능론적 접근 -가족은 사회체계를 간주되고, 가족이 보다 큰 사회를 위해 핵심적인 기능을 수용하는 것으로 여긴다

가족의 기능-노동력 재생산 자녀양육 사회의기본적인 규범과 가치를 습득하는 사회화가 포함된다

상호작용론적 접근- 조지 미드의 연구를 기초로 하며, 가족을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단위로서 간주한다(대인간 행동에 중점을 둠)

교환론적 접근 -보상과 비용의 중요성을 강조

발달론적 접근 - 지위, 역할연속, 역할 집합체

현대 가족관계의 역동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 가족 생태적 접근 역사적 접근  구조기능론적 접근 상호작용론적 접근  교환론적 접근 발달론적 접근 등의 이론이 유용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