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장 서양의료, 삶에 개입하는 어떤 관점 그리고 기술
1. 들어가며
- 형이상학적 개념의 ‘나’와 형이하학적 개념의 ‘나’, 이전의 나와 지금의 나는 다른 존재인가?
- 지금의 시대에 의료 이슈는 또한 한국사회만의 이슈가 아니라 다른 사회문화와 직접 닿아 있는 세계화의 이슈다.
* ADHD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 의료인류학 : 문화인류학, 문화의 관점에서 사회의 여러 부문(정치·경제·종교·의료)을 연구.
2. 서양의료는 무엇인가?
- 서양의료를 다른 의료와 대비시키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해부학적 ‘관점’으로 인간을 바라본다는 것.
그 관점 위에 수술이라는 서양의료의 대표 치료기술이 발달하였다.
의료보험제도는 서양의료의 진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필수적인 조건이다.
- 해부학적 관점이 없는 한의학은 인간 몸을 총체적으로 연결하는 관계성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한의학의 사암침 기술은 온몸의 관계성을 강조하는 한의학의 관점을 여실히 드러낸다. 저비용의 방식이다.
(1) 관점
〈서양의료의 관점〉..........미셀 푸코 : 『임상의학의 탄생』
· 근대이후 유럽에 등장한, 몸에 대한 어떤 관점을 지칭한다는 것이다.
· 공간화와 언어화의 관점 위에서 진행된 일련의 표준화·단순화 작업을 통해 탄생되었다.
- 인간이 앓는 질환을 몸이라는 공간 속에 위치시키고(공간화),
- 그 질환을 인식의 공간에 위치시키는 고정화 작업(언어화)을 통하여 표준화·단순화는 완성되는 것이다.
- 근대 서양의학이 구축한 표준화는 그 범위가 눈에 띄게 좁은 것이 특징이다.
· 이중 대상화(공간화와 언어화)의 동시성에서 잘 드러난다.
· 대상화 되지 않는 것에 대한 배제 - 공간화·언어화되지 않는 질병현상은 도외시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 서양의료라는 체계는 근대 서구의 역사적·철학적 환경 속에서 도출된 인간을 바라보는 하나의 특이한 관점
위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우리의 삶에 특이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기술
- ‘서양의료과학기술’의 발전 속에 면면히 유지되고 있는 공간화·언어화의 단순화 기조.
- 공간화·언어화의 철두철미한 대상화(단순화) 체계 : 확실한 질병현상만을 의료적 처치의 대상으로 하려는 방향성.
확인할 수 있는 물질적인 대상만을 의학적 대상으로 간주하는 경향을 낳았다.
- 진단기계들이 들여다보는 것은 결국 인간의 물질적인 측면인 것이다.
- 약물제재들 또한 인간의 물질적인 측면(혈액 속을 콜레스테롤, 뇌 속의 세로토닌 등)을 처치 대상으로 삼는다.
- 정서적·사회적·문화적 이슈들을 양산하고 있다.
3. 서양의료, 삶에 개입하는 어떤 관점, 그리고 기술
- 의료화 : 의료와 삶이 연관되어지는 방식에 대한 개념이다.
의료 영역의 팽창, 기존의 의료영역 밖에 있는 삶의 영역에 영향력 확장하는 방식과 현상에 대한 개념.
- 서양의료 : 특이한 관점과 그 관점을 바탕으로 한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 질병의 수치화 현상 : 심화된 형태의 언어화. 서양의료의 환의주의
당뇨병의 다양한 질병현상이 126이라는 숫자를 통해서 표준화·단순화된다.
- 설명모델 : 의료행위와 관련된 여러 입장의 사람들(의사, 간호사, 환자, 환자 가족)이 어떤 질병에 대하여
요해하는 각각의 방식(모델)을 의미한다. 환자의 설명모델은 의사의 모델과 일치하지 않는다.
- 의사와 환자의 설명모델 사이의 간극에는 물질적인 대상을 의료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관점과 그 물질적 대상에 대한 수치화가 자리 잡고 있다.
* 아류르베다 : 인도의 전승의학. 아유르는 ‘장수’, 베다는 ‘지식’이라는 뜻으로, 생명(건강)과학을 의미한다.
* 동종요법 : 인체에 질병 증상과 비슷한 증상을 유발시켜 치료하는 대체의학의 일종.
* 랩 : 미국의 의료인류학자. 초음파는 태아의 현재 상태를 가시화시킴으로써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기여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검사기술들이 던지는 사회·문화·정치적 함의에 대해서도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태아의 상태에 대한 전문지식이 산모로부터 기기 오퍼레이터로 옮겨갔다고 주장한다.
즉, 태아의 상태를 잘 알고 있는 권위가 태아의 어머니로부터 기기를 다루는 사람에게로 옮겨간 것이다.
〈나와 나의 몸 사이에 개입하는 관점-기술〉
· 내가 느끼는 내 몸의 증상만으로는 자신 몸에[ 대한 권위를 인정받지 못한다.
· 몸의 증상은 수치화·이미지화하는 진단기계가 권위적으로 파악한다.
· 서양의료과학기술이 내 자신과 내 몸의 관계에 개입하여 간극을 만들어 내고 틈입하는 상황.
〈의료기술의 전파와 각 문화에서의 반향〉
· 초음파기기의 전파와 인도에서의 반향 : 성감별과 여아 태아에 대한 선별 낙태의 도구로 사용
· 극심한 소비차이 초래.
〈세계화를 통한 의료기술의 전 지구적 전파〉
· 문화적·사회적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전 세계에 보급된다.
· 미국 내 청소년 정신과 환자의 급증 - ADHD와 청소년 조울증. 상업주의가 의료화 확산의 중요한 추동력.
· 당대 서양의료가 누리는 권위는 권위가 아니라 권력이라고 칭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서양의료의 권위가 인간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논의를 억누르는 권력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생애의 변화〉
· 사회적·문화적 함의를 수반한다.
· 당대의 의료화는 변화의 길목에서 의료의 도움을 받으라고, 아니 의료의 도움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 성장 클리닉, 갱년기 클리닉 등은 생애의 변화에 개입하는 의료화의 담론을 예시한다.
· 수능 후 ‘성형’도 통과의례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 안티-에이징 : 노화에 대한 대표적 의료화 담론이다. 노화의 의료화는 그 자연스러운 변화를 병적인 상태로 규정.
‘에이징’에 붙어 있는 ‘안티’라는 접두어는 마치 노화를 피하고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게 하는 인식론적 효과를 충분히 얻어 내고 있다.
4. 나가며
- 서양의료는 표준·단순화된 관점으로, 과학기술과의 결합으로, 과학주의의 권위로, 또한 시장의 논리와의 결합을
통해 삶과 의료를 연계하면서 우리의 삶에 전대미문의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서양의료의 삶에 대한 개입은 총체적이라고 할 만하다.
- 의료와 삶의 철저한 연관만큼 한국사회의 서양의료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이 요구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현대의 서양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양학과, 방송대, 방통대, 문화 등 현대의 서양문화 요점정리 14. 예술의 대중화 : 신자유주의와 글로벌리즘의 합작품 (1) | 2022.10.08 |
---|---|
교양학과, 방송대, 방통대, 문화 등 현대의 서양문화 요점정리 13. 현대의 공공미술 (0) | 2022.10.06 |
교양학과, 방송대, 방통대, 문화 등 현대의 서양문화 요점정리 11. 소셜 네트워킹과 가상현실로 보는 뉴미디어 문화현상 (1) | 2022.10.05 |
교양학과, 방송대, 방통대, 문화 등 현대의 서양문화 요점정리 10. 변화하는 세계와 전환점에 선 가족 개념 (0) | 2022.10.04 |
교양학과, 방송대, 방통대, 문화 등 현대의 서양문화 요점정리 9. 현대 스포츠 : 자본과 미디어가 결합한 문화 쟁투의 장 (1)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