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몰입과 유아교육
1. 몰입의 이해
1) 몰입의 개념
-정신 집중, 재미를 느껴 자아 상실의 상태
-능동적 참여 자기 목적적인 체험의 상태
-능력 향상, 도전 수준의 상승 기술 발달
-내적 동기와 주의집중과 연결된 것
-창의성을 낳을 수 있는 것
2) 시첸트미할리의 몰입
-자기 목적 활동에 힘 쏟아 행동할 때 느끼는 총체적 감각
-목표를 위해 주의가 사용된 최적 경험상태
-도전과 능력이 어느 수준에서 균형을 이루는 것
-활동에 완전 집중, 즐김, 어떤 것도 원하지 않음
-활동 그 자체 이외의 시간, 피로 등을 잊음
-창의성, 절정 수행, 재능 발달, 스트레스 감소
4채널 모델: 도전과 능력 수준 사이의 관계
채널 모델: 4채널을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함
몰입의 차원과 특징 | 내 용 | |
차원 1 | 도전과 기술의 균형 | 상황에 대한 도전과 그 도전에 적절한 개인의 노력 사이의 균형(조화)을 지 각하는 것. 지각된 기술과 특별한 환경에서의 도전 사이의 조화 |
차원 2 | 행위자체의 몰입 | 몰입의 상태에서 자신들의 활동이 자발적으로 즉 거의 자동적으로 되는지 를 묘사하는 것 |
차원 3 | 명확한 목표 | 사전에 분명한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정확히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아는 것 |
차원 4 | 구체적 피드백 | 분석이나 어떤 의견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정확하고 신속한 피드백이 지속 적인 행동과 연관되는 것 |
차원 5 | 과제에 대한 집중 | 몰입의 상태에서 과제에 대해 전적으로 집중하는 것 |
몰입의 차원과 특징 | 내 용 | |
차원 6 | 통제 감각 | 몰입하는 동안 실질적으로 통제하려고 노력함이 없이 수행자가 운동 통제 감각을 가지는 것 |
차원 7 | 자아의식의 상실 | 마치 자기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은 형상 또는 행동과 자신 이 하나가 된 것 같은 현상을 말하는 것. 사람이 환경과 조화되거나 또는 감 정과 하나가 되도록 몰두하는 것과 같은 개념 |
차원 8 | 시간의 변형된 느낌 | 몰입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의 변형된 감각 또는 시간 변형으로 설 명되는 것. 시간의 인식이 잘 되지 않거나 시간에 대한 지각이 사라지는 것 |
차원 9 | 자기 목적적인 경험 | 자기 목적적인 또는 즐거운 경험. 몰입은 의식의 매우 긍정적인 상태와 내 적으로 보상되는 경험인 즐거움을 이끄는 특별한 특성들과 관련됨 |
4) 몰입의 종류: 거시몰입
-일반적인 몰입, 참여몰입, 높은 수준의 도전과 기술의 균형
-긍정적 경험의 제공 → 적극적인 참여와 목적적인 활동
4) 몰입의 종류: 미시몰입
-재미 수준의 몰입, 관찰 몰입
-낮은 수준의 도전과 기술의 균형 상태
-긍정적인 경험이 아닌 소극적, 수동적 활동
2. 몰입의 조건
1) 전제조건
-명확한 목표(clear goals)
-즉각적인 피드백(immediate feedback)
-도전과 능력의 균형(challenge-skill balance)
2) 과제 특성
-도전과 기술을 요하여 집중할 수 있는 과제
-즐거움과 긍정적 정서를 주는 과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과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매력적인 과제
-신기함이 있는 과제
-내적 동기를 제공하는 과제
3) 유아특성
-목표의식과 피드백을 즐겨야 함
-기질상 집중을 잘하는 유아, 내향성의 유아
-참여의 적극성이 있는 유아
-긍정적이고 도전적인 자세와 태도
-관찰과 주의집중을 하는 유아
-흥미와 호기심을 표현하는 유아
-정서적 안정성을 가진 유아
4) 활동특성
-적당한 도전과 기술을 요구하는 활동
-‘무엇을’ 보다 ‘어떻게’ 로 이루어지는 활동
-다양함과 신기함을 제공하는 활동
-아이디어 교류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활동
-상호작용과 보상이 제공되는 과정과 활동
-유아의 주의를 끄는 활동이어야 함
-과제와 능력의 균형→ 몰입으로 나아가게 함
5) 환경 특성
-환경의 기이함이 있어야 함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함
감각적 참여: 오감을 통한 흥미와 재미를 느끼는 것
지적 참여: 이전 경험과 정보를 통한 흥미와 재미를 느끼는 것
정서적 참여: 감각 정보와 관계를 통해 즐거움을 느껴야 함
3. 몰입의 결과와 교사의 역할
1) 결과
-호기심과 흥미의 개발 → 창의성으로 나아감
-의사소통과 리더십 → 유능성을 낳음
-주의집중과 자긍심, 자아통제감 발달
-성취감, 행복감, 감성지능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도전 → 목표 설정
2) 교사의 역할
흥미 있는 과제의 제시, 과제 지속을 위한 환경 구성
유아 수준, 사전 경험 정도, 과제자체 특성을 고려함
설정된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 확인
격려와 칭찬: 과정지향적인 칭찬이 요구됨
필요할 경우 활동에 대한 개입(개입 최소화)
능력과 과제가 균형을 맞추는지 확인
감각적 재미 → 내적 동기로 나아가는 자료구조화
'놀이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교육과, 보육사, 심리학 등 놀이지도 요점 정리 35. 몰입 교육과정의 구성 (0) | 2022.07.09 |
---|---|
유아교육과, 보육사, 심리학 등 놀이지도 요점 정리 34. 재미와 유아교육 (0) | 2022.07.08 |
유아교육과, 보육사, 심리학 등 놀이지도 요점 정리 32. 스트레스 상황의 유아를 위한 놀이의 활용 (0) | 2022.07.06 |
유아교육과, 보육사, 심리학 등 놀이지도 요점 정리 31. 놀이치료 (0) | 2022.07.05 |
유아교육과, 보육사, 심리학 등 놀이지도 요점 정리 30. 통합교육상황에서의 놀이지도 (0) | 2022.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