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언어별 이중모음 체계
1) 이중모음의 일반적 특징
① 두 개의 모음 중 하나는 대체로 고모음 /ㅣ/ 또는 /ㅜ/ 모음
② 이 두 모음(/ㅣ/ 또는 /ㅜ/)은 완전한 단모음의 소리를 갖지 못함.
♠ 반모음(semi-vowel)= 활음 (glide) = 반자음(semi-consanant)
♠ 국제음성기호로 /y/혹은 /j/와 /w/로 표시
* 반모음이라고 부르는 이유 : 기본적으로 /y.w/와 같은 모음의 성격을 띠지만 스스로 독립적이지 못해서(=완전한 단모음의 소리를 갖지 못함) 반모음이라고 부름. * 반자음이라고 부르는 이유 : 이들 소리 앞이나 뒤에 모음이 와야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자음과 비슷하다고 하여 반자음이라고 부름. 예) 민국+아 (자음+모음) 철수+아 (모음+모음 --x), 철수+야(모음+y+아(모음)---y의 역할이 자음) |
③ 이중모음은 상향이중모음과 하향이중모음으로 나뉨.
* 공명도란? 소리가 잘 들리는 정도. ‘ㅏ’가 ‘ㅣ’보다 잘 들리고 모음이 자음보다 잘 들림. 공명도의 정도 : 모음 > 자음 ( 비음/n/,/ŋ/,/m/ > 유음 /l//r/) *자음 중에서 공명음은 비음과 유음 |
♠ 상향이중모음
- 공명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감.
- ‘활음+모음’의 구조를 가지는 이중모음 (예: ㅑ(ㅣ+ㅏ), yard[jaːrd])
♠ 하향이중모음
- 공명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려감.
- ‘모음+활음’의 구조를 가지는 이중모음 (예: ㅢ(ㅡ+ㅣ), high[hai])
2) 한국어의 이중모음
- 한국어의 이중모음은 모두 11개
- 주로 상향이중모음이고 ‘ㅢ’ 만 하향이중모음
상향이중모음 /y/계 | 상향이중모음 /w/계 | 하향이중모음 |
ㅑ[ya],ㅕ[yə],ㅛ[yo], ㅠ[yu],ㅖ[ye],ㅒ[yɛ] |
ㅘ[wa],ㅝ[wə],ㅙ[wɛ],ㅞ[we] | ㅢ[ɨy] |
3) 영어의 이중모음
- 상향이중모음과 하향이중모음이 모두 발달해 있고, 삼중모음도 존재함.
상향이중모음 | 하향이중모음 | 삼중모음 |
yard [jaːrd] youth [juːθ] yogurt [jóugərt] wagon[wǽgən] work [wǽgən] wet[wet] |
my [mai] oil [oil] day[dei] house[haus] go[gou] old[ould] |
mayer [máiər] lawyer [lɔ́ːjər] power [páuər] |
4) 일본어의 이중모음
- 이중모음이 모두 4개이며 모두 상향이중모음
5) 중국어의 이중모음
- 상향이중모음과 하향이중모음 모두 발달되어 있음.
- 중국어에서는 고모음(/i/,/u/)은 활음과 결합하지 않음. 즉 고모음은 이중모음이 될
수 없음.
- 삼중모음도 존재함.
♠ 예
/iau/跳[tiào](뛰어오르다), /uai/ 坏[huài](나쁘다), /uei/ 对[duì](맞다), /iou/ 球[qiú](공)
6) 이중모음 체계 대조
① 상향이중모음([y],[w]+모음)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가 흡사함.
♠ 한국어, 영어, 중국어는 /y/계,/w/계 모두 발달되어 있으나 일본어는 /w/계의 이중모음은
[wa] 하나만 존재함.
② 영어와 중국어에는 [ai][aʊ][ɔi]와 같은 하향이중모음이 있는데 한국어와 일본어는 없음.
③ 삼중모음은 영어와 중국어에는 있으나 한국어와 일본어에는 없음.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2. 언어권별 모음 오류 분석 (2) | 2024.04.26 |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1. 모음의 유형적 보편성 (0) | 2024.04.25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9. 언어별 단모음 체계 (0) | 2024.04.23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8. 자연언어 음소체계의 특성 (1) | 2024.04.22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7. 어휘와 표현 및 담화 대조 (0) | 2024.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