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격심리학

나의 성격은? 상담, 심리학 필수 성격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35. 프랭클의 의미치료

728x90
반응형

35. 프랭클의 의미치료

1) 프랭클의 생애 (Viktor Frankl, 1905~1997)


♠ 1905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출생 
- 1928년 비엔나에 청소년자문센터 건립하여 1983년까지 관장 
- 1930년 비엔나 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 취득 1942년 3년간 아우슈비츠와 다하우에 

있는 나치 포로수용소에 죄수로 있었음
- 포로수용소에서 부모 동생 부인 자녀들을 모두 잃음, , , .
- 포로수용소 경험을 건설적인 방식으로 사용
♠  1949년 비엔나 대학에서 철학학사 학위 취득 
- 비엔나 대학에서 부교수 샌디에이고미국국제대학교에서 저명한 연사 하버드와, ,
스탠퍼드대학 등에 방문교수로 재직
- 1963년 인간의 의미탐구 의미치료의 입문 출판 
-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미치료 개발‘ ’
♠  1997년 사망할 때까지 삶의 의미를 강조하는 강의와 저술활동을 계속함 


2) 주요 개념


(1) 의지의 자유
♠  인간 의지의 자유를 의미 인간 의지는 유한한 존재의 의지임, .
♠  프랭클은 인간은 어떤 환경에서도 자신의 마음으로 자기가 어떻게 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고 말함.
♠  인간이 자기분리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 인간은 자신에 대한 그의 태도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 이러한 차원을 신체적 차원이나 심리적 차원과 구별해서 정신적 차원 이라고 부름. ‘ ’ .


(2) 의미에 대한 의지
♠  인간에게 기본적인 동기적 힘.
♠  인간은 인생항로의 끝에서 마지막 숨을 거둘 때까지 의미를 탐색할 욕구에 직면함.
♠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은 긴장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그에게 가치가 있는 어떤 의미를 추구하는 긴장임, .
♠  개인의 자기실현은 개인이 추구하는 의미가 충족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됨.


(3) 삶의 의미
♠  인간은 주어진 생활상황에 내재한 잠재적 의미를 충족하는 데 책임이 있는 존재를 의미
♠  인간의 유한성에서 비롯된 책임감 -> 우리가 반응하는 방식은 우리의 삶에 책임을 지는 것
-> 삶이 유한하기 때문에 주어진 일회적 삶이 귀중한 의미 
♠  만약 삶에 의미가 있다면 고통에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추리, .
♠  삶과 죽음의 의미 탐구는 의미치료의 본질.

 

3) 의미치료의 적용


(1)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원천
① 일의 의미 인생에 대한 책임감은 삶 속에서 부딪히는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남: .
♠  말로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행동 일 으로 나타나는 것( ) .
♠  직업의 상실 -> 무감각, 우울과 같은 신경증 유발  
② 사랑의 의미
♠  사랑은 다른 사람의 성격의 내면을 이해하는 것.
♠  사랑은 자기의 모든 유일성과 독자성 안에서 타인의 경험을 체험하는 것.
③ 고통의 의미
♠  고난이나 고통은 인간이 무감각하거나 권태를 느끼게 되는 것을 막아줌.
♠  고통은 행동을 이끌고 성장과 성숙에로 이끄는 요인이 됨, .
④ 과거로부터의 의미
♠  의미 탐구가 일차적으로 사람들의 미래에 맞추어진 것이지만 과거도 의미의 원천임,
⑤ 최상의 의미
♠  삶과 고통의 궁극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
♠  사람들의 그들의 고통과 관련해서 찾는 종교에 의해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음.


(2) 역설적 의도와 탈숙고
♠  의미치료 상담자들은 상담기법보다는 상담자의 태도를 강조하지만 역설적 의도와 탈숙고는,
의미치료의 핵심개념인 자기초월과 자기분리를 할 수 있는 인간의 본질적 능력에 근거함.
① 역설적 의도
♠  사건에 대한 두려운 기대 → 기대불안 야기 → 지나친 주의 또는 지나친 의도로 이끔 →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되는 악순환 예 공포에 대한 공포 증가( , )
♠  상담자 개인이 두려워하는 그 일 자체를 하도록 하거나 일어나기를 소망하도록:
격려함으로써 의도의 반대를 생성하게 함 → 의도의 정반대인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하여 공포증의 악순화에서 이탈하게 하는 것
♠  내담자는 역설적 의도를 통해 당신이 두려워하는 것은 두려움 그 자체라는 것을 배우게 됨
② 탈숙고
♠  지나친 숙고로 인한 기대불안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
♠  예 프랭클의 지네 에 대한 예 지네에게 너의 다리들이 어떤 순서로 움직이는가 라고) ‘ ’ ) “ , ”
묻는 순간 지네는 전혀 움직일 수가 없을 것, .
♠  문제에 대한 지나친 숙고는 자발성과 활동성에 방해가 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