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금속디자인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16. 장신구의 종류 및 특성 (남성용 장신구 등)

728x90
반응형

16. 장신구의 종류 및 특성 (남성용 장신구 등)

 

바. 남성용 장신구
(1) 커프스 버튼
와이셔츠 등의 커프스 양쪽 구멍에 질러 넣어 개구부(開口部)를 막기 위한 잠그개로,
부분버튼이라고도 한다. 2개 또는 1개의 버튼을 사슬이나 금속류로 연결시킨 것이 많이
있고, 소매 바깥쪽에는 장식으로 귀금속이나 보석류를 사용한다. 타이핀과 세트로 된 것
이 많고 예복에 많이 쓰인다.
17세기 무렵 웃옷에 등장하였으며, 뒤에는 여러 가닥으로 꼰 끈이 사용되어 커프스트
링스라 하였고, 19세기 중반에는 사슬이 연결용으로 사용되어 커프 링크스라고 하였다.
오늘날과 같이 된 것이 남자의 슈트 형식이 완성된 19세기 말이다.
(2) 타이핀
넥타이 장식이 1840년대에 와서 타이핀 꽂는 것이 유행하였는데 영국의 알버트왕자가
그의 크라 바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핀을 사용한 것이 넥타이핀의 유래로 보고 있다.
이렇게 17세기 프랑스에서 발생하여 300여 년 동안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해 온 넥타
이형태에 따라서 장식품인 타이핀도 아울러 변화를 거듭해 왔다.
(3) 벨트와 버클
벨트는 입은 옷을 졸라매거나 치장하기 위해 허리에 두르는 끈 또는 띠 모양의 물건이
며, 밴드와 거의 유사하거나 밴드는 조이거나 휘감는 물건 전체를 가리키는데 대하여,
벨트는 허리 부분에 한정한다.


다이아몬드 세팅 반지
루비 인비져블 세팅 반지

여성용은 장식적 요소가 강하고 허리에서 엉덩이 사이의 여러 위치에서 몸매에 맞추어
버클(buckle)·걸쇠(clasp)·갈고리(hook)·단추 등으로 끼우거나 걸기도 한다. 재료
는 가죽·직물·편물·금속·플라스틱 등이고, 색·모양·치수 등도 다양하다.

중세에는 이들이 장식적으로 변하였고, 12∼13세기에는 금실로 짠 정교한 모양의 견
직물제품, 가죽에 에나멜이나 귀금속·보석 등으로 장식한 벨트가 나타났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