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 SONET/SDH 시스템 구조
가. SONET/SDH 데이터율
SONET에서는 동기전송신호(STS, Synchronous Transport Signal)라고 부르는 전기
적 신호방식 수준의 계층을 STS-1부터 STS-192까지 정의하고 있다. STS-1부터 STS-
192까지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51.840Mbps부터 9953.280Mbps까지 분포되어 있으며,
각 계층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전송속도는 [표 6-9]와 같다. 한편 SDH 또한 동기전송
모듈(STM, Synchronous Transport Module)이라고 불리는 유사한 시스템을 정의하고
있는데 SONET의 STS-3와 SDH의 STM-1이 서로 동일한 데이터 전송속도를 갖는다.
SDH는 현재 사용되는 E 회선과 같은 유럽식 계층구조는 물론 SONET의 STS 레벨과
도 호환되도록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6-9 SONET/SDH 전송속도
동기전송신호 (STS) |
광 캐리어 (Optical Carrier) |
전송속도 (Mbps) |
동기전송모드 (STM) |
STS-1 | OC-1 | 51.840 | |
STS-3 | OC-3 | 155.520 | STM-1 |
STS-9 | OC-9 | 466.560 | STM-3 |
STS-12 | OC-12 | 622.080 | STM-4 |
STS-18 | OC-18 | 933.120 | STM-6 |
동기전송신호 (STS) |
광 캐리어 (Optical Carrier) |
전송속도 (Mbps) |
동기전송모드 (STM) |
STS-24 | OC-24 | 1244.160 | STM-8 |
STS-36 | OC-36 | 1866.230 | STM-12 |
STS-48 | OC-48 | 2488.320 | STM-16 |
STS-96 | OC-96 | 4976.640 | STM-32 |
STS-192 | OC-192 | 9953.280 | STM-64 |
나. SONET 장치
SONET 전송을 위해서는 기본 장치인 동기전송신호(STS) 다중화기, 재생기, 추가
및 삭제 다중화기, 그리고 단말기로 구성된 장치들의 조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
림 6-26]은 이러한 SONET 장치들을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하는 간단한 링크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인 흐름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다수의 입력 신호들이 STS
다중화기로 들어가서 단 하나의 광신호로 다중화 된다. 이후 전송 중 발생한 잡음은
재생기를 통하여 제거되어 깨끗한 광 신호로 재생된다. 다음에는 다수의 발신지에서
전송되어온 신호들은 추가/삭제 다중화기로 입력되며, 여기에서는 필요할 경우 신호
들을 식별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정보에 지시된 대로 송신한다. 이렇게 다중화된 신호
들은 또 다른 재생기로 보내지며, 최종적으로 수신측의 STS 역다중화기로 보내져 수
신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형식으로 바뀐다.

(1) STS 다중화기(MUX)/역다중화기(DEMUX)
STS 다중화기 및 역다중화기는 각각 SONET 링크의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하며, 이
는 전기적인 종속망과 광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시작점에 위치한
STS 다중화기는 다수의 발신지에서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를 다중화하여 이에 해당하
는 광 캐리어 신호를 생성하며, 반대로 STS 역다중화기는 다중화기에서 생성한 광 캐
리어 신호를 이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들로 다시 분해한다.
(2) 재생기(Regenerator)
재생기는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로 STS 다중화기 또는 또 다른 재생기로
부터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재생한다. 다음에는 이를 광 캐리어 신호로 변환
하여 재전송함으로서 SONET 링크의 길이를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재생기는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오버헤드의 일부 정보를 수정하게 된다.
(3) 추가/삭제 다중화기
추가/삭제 다중화기(ADM, Add/Drop Multiplexer)는 SONET 네트워크 안에서 다
른 발신지로부터의 광 신호들을 해당 경로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과 현재 경로에서 임
의의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전체 신호에 대한 역다중화를 수
행하지 않고서도 새로운 방향으로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추가/삭제
다중화기는 각 스트림들을 구별해 내기 위해서 타이밍이나 비트 위치가 아닌 스트림
의 헤더에 포함된 주소와 포인터 정보를 이용한다.
(4) 단말기(Terminal)
단말기는 SONET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의 경
우 라우터가 바로 단말기가 되는 것이다. 이때 라우터는 또 다른 단말기인 다른 라우
터에게 SONET 네트워크를 통하여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다. 연결
[그림 6-26]과 같이 SONET 네트워크의 각 장치의 연결은 어떤 장치간의 연결인가
에 따라 구간(Section), 회선(Line)과 경로(Path)와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각 연결
의 연결대상과 설명은 [표 6-10]과 같다.
<SONET 장치간의 연결 종류>
연결 | 연결장치 | 설명 |
구간 | • 다중화기 ↔ 다중화기 • 다중화기 ↔ 재생기 • 재생기 ↔ 재생기 |
두 개의 이웃한 장치를 연결하는 광 링크 |
회선 | • STS 다중화기 ↔ 추가/삭제 다중화기 • 추가/삭제 다중화기 ↔ 추가/삭제 다중화기 • STS 다중화기 ↔ STS 다중화기 |
두 개의 다중화기 사이의 네트워 크 부분 |
경로 | • 종점-대-종점 | 두 개의 STS 다중화기 사이의 종 점-대-종점 네트워크 |
'정보통신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85. SONET 프레임 (1) | 2023.05.14 |
---|---|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84. SONET 계층 (1) | 2023.05.12 |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82. SONET/SDH의 개요 (0) | 2023.05.10 |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81. N-ISDN과 B-ISDN의 비교 (0) | 2023.05.10 |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80. B-ISDN (1)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