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이더넷(Ethernet)
이더넷은 백본(Backbone) 대역폭이 10Mbps인 네트워크를 말한다. 데이터 전송 방
식은 CSMA/CD를 사용하고, 표준 안은 IEEE 802.3에 명시되어있다. 이더넷의 기본
개념은 1960년대 말 제록스에서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실제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1973년이다. 1980년대 초 제록스, DEC, 인텔 등이 연합하여 DIX(DEC, Intel,
Xerox)라는 새로운 이름의 이더넷으로 바뀌었고 이후 IEEE 802 표준화 위원회에서 표
준으로 제정하였다. 또한 이더넷의 명칭은 Ethernet에서 에테르(ether; 빛, 열, 전자
기를 전달하는 가상적 전파매체, 즉 동축케이블)에 네트워크를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넓은 의미의 이더넷은 LAN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이야기 하지만, 정
확히는 네트워크 초기에 사용된 10Mbps까지의 전송 속도를 가진 10Base5, 10Base2,
10Base-T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더넷의 표현법은 [그림 5-13]과 같이, 전송 속도, 전
송 방식, 전송 거리로 표현된다.
이더넷은 세그먼트 1개나 여러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세그먼트 1
개는 다시 리피터 없이 동축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는 국(예 단말기나 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 각 국은 탭이 부착되어 있는 송수신기 케이블로 이더넷에 연결된다. 동축
케이블의 최대 길이는 500m며, 세그먼트 당 송수신기는 최대 100개, 송수신할 때 탭
간의 거리는 최소 2.5m, 리피터 간 거리는 최대 1,000m, 국과 송수신기 간의 최대 거
리는 50m다. 네트워크의 거리를 연장할 때 감쇠되는 신호를 재생시키는 장치로 리피
터가 필요하다.
'정보통신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58.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 (0) | 2023.04.26 |
---|---|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57.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 (1) | 2023.04.25 |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55. 네트워크 형태에 따른 분류 (1) | 2023.04.24 |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54. 전송매체 접근 방식에 따른 분류 (2) | 2023.04.24 |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53. 전송신호에 따른 분류 (1)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