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2장. 기업의 입지결정
2장. 기업의 입지결정
1. 다음 중 배달비용에 비해 조달비용이 큰 산업은 무엇인가?
①건어물 산업 ②맥주산업 ③제빵산업 ④의류산업
정답 : 1 해설 : 보통 중량감소 산업의 경우 조달비용이 크다. 건어물 산업의 경우 원재료
의 무게가 완제품 무게보다 더 나가므로 중량감소산업이고 따라서 조달비용이 크다.
2. 기업이 환적 지점에 위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①수입이 최대화되기 때문 ②운송비용이 최소화되기 때문
③생산비용이 최소화되기 때문 ④가격이 가장 높기 때문
정답 : 2 해설 : 환적 지점에서는 운송비용이 최소화된다.
3. 다음 중 대표적인 지역생산요소는 무엇인가?
①기술 ②정보 ③노동 ④자본
정답 : 3 해설 : 지역에 따라 노동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노동이 지역생산요소가 된다.
【정리하기】
- 기업은 비용 최소화를 고려하여 입지를 결정한다.
- 운송비용 지향적인 기업은 전체 비용에서 운송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운송비용이 최
소화되는 지역을 선택하는 기업이고 지역생산요소 지향적 기업은 전체 비용에서 생산비 비중
이 높아서 생산비가 최소화되는 지역을 선택하는 기업이다.
- 원산지 지향적인 기업은 조달비용이 배달비용보다 큰 운송비용 구조를 가진 기업이고 시장
지향적인 기업 배달비용이 조달비용보다 큰 운송비용 구조를 가진 기업이다.
- 원산지가 여러 지역이거나 시장이 여러 지역인 경우 중위위치에서 운송비용이 최소화된다.
- 원료 생산지가 여러 곳이고 원료 생산지와 시장 간에 환적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환적 지
점에 입지할 때 운송비용이 최소화된다.
- 만약 어떤 생산요소의 가격이 지역에 따라 다르다면, 그 생산요소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은
가격이 가장 낮은 지역에 위치하려고 할 것이고 이런 기업을 지역 생산요소 지향적인 기업이
라고 한다.
- 대표적인 지역 생산요소는 노동과 지역공공서비스이다.
- 운송비를 최소화하는 지역과 생산비를 최소화하는 지역이 같지 않을 때 기업은 운송비와
생산비를 더한 총비용이 최소화되는 지역을 입지로 한다.
『주요용어』
- 조달비용 : 제품을 시장까지 운송하는데 드는 비용
- 배달비용 : 원료를 공장까지 운송하는데 드는 비용
- 환적지점 : 하나의 운송수단에서 다른 운송수단으로 상품이 옮겨지는 지점
- 지역생산요소 : 지역 간에 가격이 다른 생산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