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7. 민요의 이해 (1)
7강 민요의 이해 (1)
A. 민요의 개념
1. ‘謠’와 ‘歌’의 동양적 전통
* 詩經 : “악기의 반주가 없이 부르는 노래를 謠라고 하고 악기의 반주를 수반하는 것을 歌”
2. 민요의 기본적인 특징
*음악성과 문학성의 총체적 산물
*창자와 청자의 未分
*생활의 경험과 일상사의 감정을 진솔하게 표출
*삶의 현장(삶의 방식)을 바탕으로 전승
*지역적 특징의 적극적 반영
*민중 향유의 口碑傳承物
*전문적 창자가 아닌 예사사람의 가창물 cf) 무가, 판소리
*機能的이면서 동시에 自足的인 노래: 타인의 평가에서 자유로움. cf) 판소리
B. 민요의 역사적 자취
1. 민요의 발생
*신앙 행위를 보조하는 단순한 음률
*집단적 노동의 기본적 동작(호흡) 일치의 필요성: 일정한 리듬감
*개인적 심사의 단순한 표출: 단순하고 일정한 리듬감
2. 삼국시대까지의 민요
*당대 민요와 배경설화의 연결형태:
-上代詩歌 公無渡河歌, 海歌, 黃鳥歌, 龜旨歌등
*新羅 鄕歌의 민요적 성격
- 풍요(勞動謠), 서동요(童謠), 처용가(呪術的民謠, 巫歌) 등
*高句麗의 不傳 歌謠
*百濟의 不傳 歌謠
*新羅의 不傳 歌謠
*노동요의 전승 가능성
-농업, 어업, 토목등생산방식의발전에따른민요의형성과전승
3. 고려시대의 민요
*고려가요의 민요적 성격 - 動動(寡婦相思謠), 상저가(방아노래), *敍事民謠 성격의[月精花] : <高麗史> 樂志 俗樂條 - cf)진주난봉가 *노동요의 전승 가능성
- 移秧法의시행과‘모심는소리(정자소리)’(14세기전후영남지역
4. 조선시대의 민요
*강희맹의 <금양잡록>의 ‘農謳十四章’: 논매는 소리를 바탕으로 구성
후렴부분: 뇨응아지리(慢調: 느린박), 확자고로롱(促調: 빠른박) *세종·성종·중종 조에 민요 채집: 통치의 방식
*李思質의 <於難難曲> : 상사소리(모심는 소리)
山有花兮皐有蘭 산유화여! 고란초여!
皐蘭長翠山花丹 고란은 길고 푸르고 메나리는 붉네.
千年萬歲君不老 천년 만년 우리님 늙지 마시라
暮暮朝朝看不看 저녁마다 아침마다 보고지고 보고지고
於難難 어럴럴 (상사디야)
*최승대의 <별헤는소리>
初月上中閨 초승달 규중에 떠오르니
女兒連袂出 계집아이들 어울려 나오네.
擧頭數天星 하늘보고 별을 헤는데
星七儂亦七 별 일곱 나 일곱.
*통속민요의 등장: 雜歌의 부상과 전문 가수(양산도, 방아타령등)
*민요의 한역과 민요 한시
* 잡가중 “유산가” 들어보기(경기명창 박춘재)
5. 시대의 변화에 따른 민요의 分化
*향토민요(鄕土民謠) : 전통사회의 민중들의 노래.
*통속민요(通俗民謠) : 잡가 전문음악인에 의한 민요풍의 노래.
*신민요(新民謠) : 음반판매 목적으로 특정인의 작사·작곡으로 제작된 노래. 곧 일제강점기에 등장한 민요풍의 대중가요
C. 민요의 일반적 기능
❶.고단한 삶을 즐기는 방식으로서의 민요
❷. 노동의 효율성
❸. 주술적 기능
❹. 작물 생장의 실제적 효능
❺. 의식의 진행
❻. 유희의 수단
❼. 세태비판의 기능: 정치적 기능
❽. 집단의결속력강화: 지역적 동질성 확인 및 강화. 地緣意識
D. 민요의 형식
1. 음보격
❶.1음 보격: 급격한 느낌. 빠른 동작의 노동요. (보리타작노래)
ex) 잘도한다∨단둘이∨하드라도∨열쯤이나∨하는듯이 (보리타작)
❷.2음 보격: 빠른 동작. (땅다지기, 맷돌노래, 놋다리밟기)
ex) 하늘이가 높다더니∨밤중샛별이 중천에 떴네∨
하늘이야 높다구해도∨밤중전에 이슬진다 (땅다지기)
❸.3음 보격: 4음보격에 비해 경쾌한 느낌.(아리랑, 한강수타령, 둥당이타령)
ex) 이씨의 사촌이 되지말고∨민씨의 팔촌이 되려무나 (본조아리랑)
❹.4음 보격: 장중한 느낌. 가장 흔한 형식. (모내기노래, 어사용등)
ex) 구야구야 가마구야 기리산 갈가마구야∨ 에이에 니새끼 검다고 한탄말어라∨ 거치 검지 속조치랑 검을손야∨ 올게낳은 햇가마구야 작년에낳은 묵은가마구야에이∨ 두손으는 엄마품에옇고 두발으는 아바품에옇고∨
2. 사설 잇기 방식
❶.後斂句를 수반하여 章(聯)을 이어나가는 형식 : 산고산타령, 강강수월래, 맷돌노래, 진도아리랑. 분련체. 후렴으로 行과章(聯)의 구분이 이루어짐.
❷ 後斂句 없이 辭說을 이어서 부르는 형태 : 베틀노래, 이생원네 맏딸애기. 연속체.
E. 민요의 가창 방식
❶.獨唱: 아리랑, 신고산타령등. 齊唱가능. cf) 復唱
-후렴이 있는 경우, 선후창으로 전환 가능.
-후렴이 없는 경우, 선후창·교환창 전환 불가능.
❷ 先後唱: 강강수월래, 맷돌노래, 상여소리, 달구질노래 등.
-선창자대후창자= 1대多/ 1대1
-선창자: 후렴을 제외한 사설선창. 가창력, 사설보유능력, 즉흥적 사설 구성 능력 필요.
-후창자: 후렴담당
❸.交換唱 : 모내기노래, 놋다리밟기, 정자소리, 징금이타령 등 -선창자와 후창자가 모두 사설을 가창하는데에 참여하는 방식.
-선창자대 후창자= 多대多/ 1대多/ 多대1 /1대1 등
-선창자의 사설 선택제약. 즉흥적 사설구성제약.
※선후창·교환창·독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