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3. 신화의 이해 2

magdaglia 2022. 10. 12. 10:05
728x90
반응형

3. 신화의 이해 2

(학습 목표)

1. 건국신화의 성격에 대하여 이해한다.
2. 건국신화 상호간의 관계에 대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3. 신화의 구조를 통하여 신화의 체제를 이해하도록 한다.
4. 중요한 신화 자료가 갖는 의미에 관하여 이해한다.

 

1.단군신화의 다른 전승

 

==이승휴[帝王韻紀]<檀君神話> 전승

-하느님[上帝] 환인에게 서자(庶子)가 있었는데, 이름을 웅()이라고 하였다. 그는지상으로내려가인간을교화시키려는마음을가졌다. 그리하여 그는 아버지로부터 천부인 세 개를 받아,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내려왔다. 이분이 곧 단웅천왕 이다.

손녀(孫女:三國遺事熊女)로 하여금 약(:三國遺事의쑥과 마늘)을 먹고 사람이 되게 하였다. 그녀는 단수신(檀樹神)과 혼인하여, 아들을 낳으니 이름을 단군 이라 하였다. 단군은 조선의 땅을 차지하여 왕이 되었다. 그러므로 시라(尸羅: 신라), 고례(高禮: 고구려), 북옥저, 북부여, 예와 맥이 모두 단군의 후손이다. 단군은 1038년 동안 나라를 다스리다, 아사달(阿斯達)에 들어가 山神이 되어 죽지 않았다.

()임금과 같은 해 무진년에 나라 세워 순()을 지나 하()나라까지 왕위에 계셨도다. ()나라 무정(武丁) 8년 을미년에아사달(阿斯達) 산에 들어가 산신이 되었으니,지금의 九月山이다. 구월(九月)은 궁홀(弓忽), 또는 삼위(三危)라고도 부른다. 사당이 지금도 그곳에 있다.

 

2.고구려 <동명. 주몽 신화> 전승

 

-부여의 옛 땅에 사람이 있었는데, 어디서 온지 몰랐다. 스스로 이르기를 해모수(解慕漱)라 하면서, 그곳에 와 나라를 세웠다. 해부루가 죽자 금와(金蛙)가 왕위를 이었다

-이때(금와가) 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한 여자를 얻어[得女子] 그 여자에게(내력을) 물으니(대답하기를), “저는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라고 합니다. 동생들과 함께 나와 놀고 있을 때, 한 남자가 있어 스스로 말하기를나는 하느님(天帝)의 아들 해모수(解慕漱)라고하면서, 저를 웅심산(熊心山) 아래에 있는 압록강가의 집속으로 꾀어, 몰래 정을 통하고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부모님께서는 내가 중매도 없이 남을 따랐다고 꾸짖고, 마침내 우발수에 내쫓아 살게 한 것입니다.”고하였다.

-금와는 이상히 여겨 그녀를 방안에 가두었다. 그런데 그녀에게 햇빛이 비치는데 몸을 피하자 햇빛이 또 따라오면서 비추었다. 이 때문에 임신하였고, (나중에) 알을 낳으니 크기가 닷 되쯤 되었다.

왕이 그 알을 개와 돼지에게 버리자 모두 먹지 않았고, 또 길 가운데에 버리니 소와 말이 피했다. 나중에는 들에 버리자 새가 날개로 덮어 주었다. 왕이 그 알을 쪼개려고 하나 깨어지지 않으므로, 마침내 그 어머니에게 돌려주었다. 그 어머니가 물건으로 알을 싸서 따뜻한 곳에 두었더니, 한 사내아이가 껍데기를 깨뜨리고 나왔다. 기골과 외모가 빼어나고 비범하였다. 나이 겨우 일곱 살인데도 숙성하여 범상하지 않았다.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면 백발백중이었다.

부여의 속어(俗語)활을 잘 쏘는 것[善射]’을 일러주몽(朱蒙)’이라하므로, 그것으로 이름을 삼았다.

-금와에게는 일곱 명의 아들이 있어 항상 주몽과 함께 놀았는데, 그 재주와 능력이 다 주몽을 따를 수 없었다. 그 장남인 대소(帶素)가 왕에게 말하기를, “주몽은 사람의 소생이 아니고 그 위인이 또 용맹스러우니, 만일 일찍이 그를 없애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까 두렵습니다. 청컨대 그를 없애십시오.”라고 하였다. 왕은 듣지 않고 주몽에게 말을 기르도록 하였다. 주몽은 준마를 알아보고 먹이를 적게 주어 야위게 하였지만, 둔한 말은 잘 먹이어 살찌게 하였다. 왕은 살찐 말은 자기가 타고, 여윈 말은 주몽에게 주었다. 나중에 들에서 사냥을 하는데, 주몽은 활을 잘 쏘므로 화살을 적게 주었으나 그가 잡은 짐승이 매우 많았다. 왕자와 여러 신하가 다시 주몽을 죽이려 하였다.

-주몽의 어머니가 이 사실을 몰래 알아차리고 아들에게 말하기를, “나라사람들이 장차 너를 죽이려고 하니, 너의 재주와 지략으로 어디에 간들 아니 되겠느냐? (이곳에) 머뭇거리고 있다가 욕을 당하느니(차라리) 멀리 가서 뜻 있는 일을 하는 것이 좋겠다.”라고 하였다. 주몽은 이에 오이(烏伊), 마리(摩離), 협보(陝父) 등 세 사람을 벗 삼아(도망하여), 엄호수(淹淲水)일명개사수(蓋斯水)이니, 지금의 압록강 동북에 있다.에 이르렀다. (그러나 강을) 건너려 해도 다리가 없어서, 추격하는 병사들이 뒤를 쫓아올까 두려워하였다. 이에 물에 고하되[告水], “나는 하느님의 아들[天帝]이요 하백(河伯)의 외손입니다. 오늘도 망치다가 추격자가 거의 닥치니 어찌하면 좋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이때 물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다리를 만들어주니, 주몽은 건널 수 있었다. 그리고 물고기와 자라가 곧 흩어졌고 추격하던 기병은 건너지 못하였다.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동명전승의 보편적인 성격>

 

==나라徐偃王의출생신화

<서언왕지>에 이렇게 쓰여 있다. : 서 나라의 궁녀가 잉태하여 알을 낳자, 이를 상 서롭지 못하다 여겨 물가에 내다 버렸다. 홀로 사는 여자에게 곡창(鵠蒼)이라 부 르는 개가 있었는데, 그 개가 물가에 사냥을 나갔다가 버려진 알을 주워서 입에 물고 돌아왔다. 그녀가 이상하게 여기며 알을 따뜻하게 덮어주니, 마침내 (알에서 깨어나) 아이가 되었다. 태어나면서 반듯이 누운 까닭에 이름을 언()이라고 불 렀다. 서나라 궁중에서 이 소식을 듣고, 다시 관계를 인정하여 데려갔다. 그 아이 는 커서 어질고 슬기로워서 나라의 왕위를 이었다. 나중에 곡창이 죽음에 이르자 뿔이 나고, 꼬리가 아홉 개나 나왔다. 사실은 황룡(黃龍)이었던 것이다.

언왕이 이개를 서나라 땅에 묻어 주었다. 지금도 그곳에 구롱(狗壟)이라는 개 무덤을 볼 수 있다. 언왕이 그 나라를 다스림에 이미 어질고 의리가 있다고 소문이 높았다. 배로 상국(上國)을 가려고, ()나라와 채()나라 사이에 운하를 파서 왕래하였다. 붉은 활과 화살을 얻었는데, 이제는 하늘의 상서를 얻었다고 하여 드디어 이름을 궁()이라 이름하고, 스스로 徐偃王이라불렀다. (<博物志> 7)

 

==부여동명왕출생신화

북이(北夷) 탁리국왕( 2離國王 )의 시비(侍婢)가 임신하였다. 왕이 그여자를 죽이려하자, 그녀가 달걀같은기운이하늘로부터저에게내려와 임신하였습니다.”라고대답하였다. 그 후에그녀가아들을낳았다. 왕은 아이를 돼지우리안에다버렸다. 그러나돼지가입김을불어주어아이는죽지않았다. 다시馬廐間안으로옮겨말에게깔려죽게했으나, 말도 입김을불어주어죽지 않았다. 왕은 이아이가하느님의아들이아닐까의심하여, 그 어미에게아이를 거두어종처럼천하게기르도록하였다. 그리고아이를동명(東明)이라 부르고, 소와말을치게하였다. 동명은 활을잘쏘 았는데, 왕은 그에게나라를빼앗길까두려워그를죽이려하였다. 동명이 이에남 쪽으로도망하여, 엄호수에 이르렀다. 활로물을치자물고기와자라가떠올라다 리를만들었다. 동명이건너가니물고기와자라는흩어져버렸고, 추격하던 병사 들은건너지못하였다. 동명은 도읍을정하고부여의왕이되었다. 그런 까닭에북 이(北夷)에 부여국이생겨났다. (<論衡> 卷第二吉驗篇)

 

-동명과 주몽: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부여의 공통시조신인 동명과 부여계 일파에서 고구려를 건국한 시조 주몽의 관계: 고구려 건국 후 범부여계를 포괄하는 신화적 체계 확립

--공통시조인 동명의 신화적 패턴을 기반으로 주몽이라는 史的英雄一代記가 결합

--중국측 입장에서 동명을 곧 주몽으로 인식. 주몽은 건국 후 범부여계 공통시조인 東明의 칭호를 사용

 

-朱蒙母身分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로 설정된 기록:解慕漱와 결연

광개토대왕비문, 삼국사기, 삼국유사(한국)

魏書, 北史·隋書의고구려조(중국)

왕의 시비(侍婢)로 설정된 기록:日照感孕

논형, 위략, 수신기, 후한서, 양서·북사·수서의백제조, 태평어람, 법원주림(중국)

 

-고구려건국시조신화의형성과정추론

 

근원신화 -> 파생신화1 -> 파생신화2 ->....역사적 사건 결합

 

신화의 형성과 전승의 과정을 보는 그릇된 관점(중국학자들의 신화관)

-설화는 일반적으로 높은 문화수준을 지닌 사람들로부터 낮은 문화수준을 지닌 사람들에게로 확산된다.허다한 설화 유형은 분명히 한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중국의 소수민족은 다만 설화의 전달자일 뿐이다.

-신검(神劍)의 전수를 통한 왕위 계승의례는 다수의 민족에게서 보이는데 앞에서 얘기한 여러 신검전설들로부터 우리는 고대의 중국, 한국 및 일본에 모두 이러한 의례가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것은 또한 한국, 일본 등 중국 주변의 민족들이 중국의 전적(典籍)에 있는 신화, 전설의 기록을 흡수한 위에 자기민족의 제의를 더하여 신화를 성립시켰기 때문이기도 하다.

 

-비류국 송양과의 경쟁: 建國先後 다툼

--鼓角을 비류국에서 가져온 뒤 색깔을 검게하여 오래된 것으로 위장.

--宮室의 기둥을 썩은 나무로 하여 천년 된 것처럼 위장.

 

古代神話의특징: 勝敗가우선. 오늘날의 윤리·도덕적 기준은 중요하지 않음.

 

 

3.신라. 가야의 신화 전승

 

-赫居世, 閼智首露, 閼英신화의 연관성

 

#혁거세·白馬·一紫卵·靑大卵·浴於東泉·大蛇·蛇陵

#알지始林·黃金櫃·掛於樹枝·白雞·童男生

#알영閼英井·雞井·0·左脇·童女生·雞觜 浴於撥川

#수로龜旨峰·金合子·黃金卵·大蟒.

 

黃金櫃閼智首露 4閼智閼英

人生閼智閼英 卵生赫居世首露

·赫居世首露 赫居世閼英

浴於川赫居世閼英 白色閼智赫居世

 

-赫居世, 閼智首露의 탄생과 성장과정의 공통점

 

#어린아이로 출현, 성장 후 즉위(혹은 후손이 즉위: 알지)

#하늘과의 혈통 설정

 

신화의 해석1

세 영웅 모두 기존집단의 인물이 아니라 외부에서 이주해 온 流移民 勢力 --> 일정기간 세력을 확대하는 시기(어린아이의 성장과정) --> 왕권 장악(왕으로 추대)

cf) 해모수의 誕降과 유화의 결연/ 환웅의 誕降과 웅녀의 결연

 

신화의 해석2

- 卵生에서의 알의 상징: 太陽神血統+곡식의種子

- 掛於樹枝: 樹木信仰의 전통과 北方 遊牧民的 習俗

- 黃金櫃· 金合子: 金冠의 등장과 북방 유목민적 요소(+무덤의 양식)

 

 

4.한국 신화의 체계

 

1.天父 = 地母 2.誕降卵(童男) : 天神系 3. 天母

 

↓ ↓ ↓

 

시조. 영웅 왕. 시조 (천부) = 지모 지부 = 천모

(단군. 주몽) (혁거세. 수로알지) (선녀와 나무꾼 : 민담)

 

4.수부 = 지모 5. 수부 = 지모

↓ ↓

. 영웅(=지모) 수부 = 지모

(서동.견휜: 전설) (구렁덩덩신선비 : 민담)

 

5.제주도<삼을라 신화> 전승

그들의 옛 기록에는 이르기를 태초에는 사람과 사물이 없었는데, 세 신인이 땅으로부터 솟아 나왔다. 제일 큰사람이 양을나(梁乙那), 다음이 고을나(高乙那), 셋째가 부을나(夫乙那). ([고려사지리지])

-太初無人物: 創世神話의모습

-··부의성씨출현: [高麗史]에도耽羅星主의명칭에姓氏가일정하지않음.

神話斷層 발생 => 재편의 과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乙那의 정체: 어린 아이의 방언인가 .於羅瑕· 於羅暇· 을나· 을내( 女眞族 酋長의 이름:徐乙那·. 要乙乃閼那) 혹 이르기를 을()은 을두(乙豆), 을파(乙巴)와 같은 종류요 ,()는 거서나 (居西那)와 같은 종류 로서 임금을 높여 부르는 칭호라 한다. 또 이르기를 ,을나는 신라의 혁거세의 칭호와 같은 것 이라하 니 ,모두 방언으로 임금이라는 말이다.

-‘·(: 高句麗王姓 高氏夫餘 王姓 夫氏

-墓制양식: 無基壇 積石塚(고구려계통), 철기유물

-[新唐書] 기록: 부여의 후손으로 소개

-[三國史記] 기록: 탐라와 고구려의 밀접한 관계

 

우리나라 고구려 신() 베포도업 제이르자. 왕이 나사 국입고, 국이 나왕입네다. <정주병, 천지왕본풀이>

-<초감제> : 三神人출현시기

영평팔년(永平八年) 을축 삼월 열사흘 날

-기원후1세기를 전후하여 부여·고구려계통의 집단이 고대탐라에 입도하여 제주시를 중심으로 세력 형성: 탐라 전역을 다스린 것은 아님.

 

우리나라 고구려 신() 베포도업제이르자. 왕이 나사 국 입고, 국이 나왕입네다. <정주병, 천지왕본풀이>

 

-<삼을나신화>의 재편 흔적: 탐라의 고려 복속(1105)

 

1차재편시도: 고려 왕건가의신화<작제건신화> 활용 제주도 軍雄 본풀이인 <구농 아방 본풀이> : 구농 아방()왕장군이 동해용왕을 도와서 해용왕을 없애고 그 딸인 용녀와 결혼하여 왕근·왕빈·왕사랑 3형제 생산. 구농 어멍()희속에낭이라 하는데 이는 왕건의 母后威肅王后訛音

 

-탐라국 건국신화에서 성씨시조신화로의 재편: 탐라국에서 일개 郡縣으로 편입되면서 일어난 현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