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학

상담심리사, 상담심리학과 필수과목 상담심리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2. 합리적-정서적-행동적 상담

magdaglia 2021. 12. 14. 07:53
728x90
반응형

12.  합리적-정서적-행동적 상담

 

1. 합리적-정서적-행동적 상담이란?
1) Albert Ellis
- 1913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의 피츠버그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출생
- 불우한 어린 시절과 내성적 성격
- 독립성과 자율성이 강한 성격
- 책을 좋아하는 아이
- 1947년 임상심리학 박사 학위 취득
- 1950년 대 초반까지는 정신분석 방법 적용
- 1956년 미국 심리학회 「합리적 치료」 발표
- 1957년 ‘합리적 치료와 개인심리학’
- 1961년 ‘합리적 정서적 치료’
- 1993년 ‘합리적, 정서적, 행동적 상담’

 

2) 합리적·정서적·행동적 상담
- REBT: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를 의미
- 인간의 문제 행동이나 정서 장애는 외부 사건 그 자체 때문이 아니라 그것을 해석하는 인간의
신념에 의해 발생
- 인간의 신념 = 합리성 + 비합리성
- 비합리적인 신념 → 특정 사건을 잘못 해석하게 하여 부적응 행동을 야기함
- 따라서, 부적응 행동을 고치기 위해서는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봄

 

2. 부적응행동의 근원과 치료논리
1) 부적응 행동의 원인
● 비합리적 (신념)사고
- 생득적 기질 + 습득된 부분
- 어린 시절 부모의 사고와 문화적 환경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음
: 어린아이는 환경을 통제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부모의 합리적 사고와 비합리적 사고가 모두
그대로 주입되기 때문
- 사고에 따라 정서와 행동이 결정되기 때문에 사고가 비합리적이면, 정서와 행동은 부정적
영향을 받음

 

2) 부적응 행동의 유발
비합리적 사고, 비합리적 신념 ▷ 부적절한 정서 : 우울, 초조, 적대감, 불안 ▷ 자아방어 유발
→ 정서장애 발생

 

3) 비합리적 신념의 범주
① 늘 남으로부터 사랑과 인정을 받아야 한다.
② 모든 영역에서 유능하고 성취를 이루어야 한다.
③ 어떤 사람은 사악하기 때문에 반드시 처벌을 받아야 한다.
④ 불행은 외부 사건에 의해 생기기 때문에 내가 어찌할 수 없다.
⑤ 위험하거나 무서운 일은 늘 일어날 수 있어서 걱정스럽다.
⑥ 어려움이나 책임은 직면하는 것보다 피하는 것이 더 낫다.
⑦ 현재 행동은 과거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
⑧ 주위 사람이 혼란에 빠지면 자신도 그렇게 되기 마련이다.
⑨ 모든 문제에는 완벽한 해결책이 있다.
⑩ 세상은 반드시 공평해야 하고, 정의는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⑪ 나는 항상 고통 없이 편안하게 살아야 한다.
⑫ 나는 미쳐서는 안 되는데 미쳐 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4) 비합리적 신념의 준거

논리성 - 사고에 논리성이 없으면 비합리적 사고
- ‘나는 직장에서 성공하고 싶다’ vs. ‘나는 직장에서 꼭 성공해야 한다’
현실성 - 사고에 현실성(검증가능성)이 없으면 비합리적 사고
- ‘나는 귀여움을 많이 받고 싶다’ vs. ‘나는 모두에게 귀여움을 받아야 한다’
실용성 - 생각이 삶에 도움이 되지 않으면 비합리적 사고
- ‘난 친구 다은이보다 예쁘다는 말을 들어야만 해’
경직성 - 선호, 바람, 소망, 희망 등의 사고에 절대적이고 경직된 요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비합리적 사고 = 실현가능성과 관련
- ‘반드시 ~해야만 해’ or ‘반드시 ~해서는 안돼’
부정적 영향 - 목표 달성이 되지 않았을 때 우울, 불안, 죄책감, 수치심, 화 등과 같은
부정적 정서가 강하게 수반되는 신념/생각일수록 비합리적 사고

5) 치료의 논리
● ABCDE 과정 : 비합리적 사고→부적절한 정서→부적응 행동의 과정을 설명하는 틀

A 촉발 사건 activity, action, agent
B A를 보는 관점 rational belief, irrational belief
C B에 대한 결과 rational consequence, irrational consequence
D 상담과정=논쟁 dispute
E 논쟁의 결과 cognitive effect, emotive effect, behavior effect

3.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상담 기법
1) 상담의 목표
● 상담의 궁극적 목적
- 비합리적 신념으로 인해 생긴…
① 개인의 정서적 고통 최소화
② 자기 패배적 행동 감소
③ 자기실현을 이루어
… 행복한 존재로 살아가도록 하는 것
● 상담의 구체적 목표
① 자기 파괴적이고 비합리적 신념을 줄여 현실적 인생관을 갖도록 하며 융통성 있고 생산적
삶을 살아가도록 한다.
② 겉으로 드러난 증상 제거보다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 신념이나 가치체계, 성격을
바람직하게 바꾼다.
③ 자기와 타인을 관대하도록 한다.
④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되도록 한다.
● 정신적으로 건강한 인간?
① 다른 사람보다 우선 자기에게 관심(self interest)이 있다.
② 자신에게 관심이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도 친절을 베푸는 등 사회적관심(social interest)이 있다.
③ 자신의 삶에 대하여 책임을 지고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자기 지도력이 있다.
④ 관대하고 생각하고 행동한다.
⑤ 융통성 있게 사고하고 변화에 개방적이며, 남에게 선입견을 갖지 않는다.
⑥ 불확실성을 수용한다.
⑦ 자신의 정서와 생각, 대인관계, 사물과의 관계에서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사고한다.
⑧ 자기 이외의 사물, 사람, 혹은 사람의 생각 등에 몰입한다.

⑨ 자신이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 자신을 수용하고 자신이 이룬 업적이나 타인의 평가에 자신의
가치를 두지 않는다.
⑩ 모험하며 위험을 감수한다.
⑪ 지나치게 유토피아적인 생각을 하지 않는다. = 노력해도 안 되는 일이 있다.

 

2) 상담의 과정
① 비합리적인 사고에 근거한 자기 언어를 찾아서 비합리성을 확인하기
② 논박을 통해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기
③ 합리적 신념을 자기 언어로 바꾸기
④ 적절한 정서를 느끼고 행동을 하도록 하기

 

3) 비합리적 신념의 확인
● 비합리적 신념 찾기
- 비합리적 생각에 해당하는 자기 언어 찾아보기
ex) ‘반드시 ~해야 한다’
- 유아기에 형성되어 재교육된 자기 파괴적 문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서적 혼란에 빠져 있음을
자각시키기
- 내담자가 미처 찾지 못한 비합리적 생각이나 자기 언어를 상담사가 직접 찾아주기

 

● 비합리적 신념을 찾는 방법
- 자신의 신념을 직접 말해 보게 하기
- 내담자의 상황, 행동, 정서반응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추측함으로 상담사가 직접 질문해
확인해 보기

 

4) 비합리적 신념의 논박
● 비논리성 확인
- 어떤 조건이 좋고 바람직하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초점
- 그 생각의 논리적 근거는 무엇입니까
- 그 생각이 왜 사실입니까
- 왜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까
- 그것을 어떻게 압니까

 

● 비현실성 확인
-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신념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것에 초점
- 그것이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까?, 증거가 있습니까? 본 일이 있습니까

 

● 비실용성 확인
-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신념이 혼란만 초래할 뿐 아무런 이득이 없다는 것을 알게 하는 데에
초점

 

-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까?, 그렇게 하면 무슨 이득이 있습니까?, 원하는 것을 얻는
데에 도움이 됩니까

인지적 기법 논박, 인지적 과제 부여, 자기 논박, 새로운 진술문 작성법
정서적 기법 무조건적 수용, 유머, 역할 연기, 수치심 공격하기, 권고/시범
행동적 기법 행동 과제, 조작적 조건형성, 근육 이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