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학

상담심리사, 상담심리학과 필수과목 상담심리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9. 인간중심 상담

magdaglia 2021. 12. 11. 10:34
728x90
반응형

9. 인간중심 상담


1. 인간중심 상담이란?
1) 인간 중심 상담
- Carl Rogers의 상담 이론
- 내담자 중심 요법(client centered therapy)
- 인간은 합리적, 사회적, 건설적, 진보적이며 스스로 성장하고 자아실현을 하는 존재로 인식함
- 인본주의 심리학에 기반
- 비지시적 상담(non-directive therapy) : 인간은 스스로 성장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상담사가
내담자에게 지시적 태도를 취할 필요가 없다고 봄
- 따라서, 인간 중심 상담 이론은 상담사의 태도를 중요하게 생각함


2) 상담사의 태도
● 개인의 가치와 존재에 대한 존중
- 상담사의 가장 중요한 태도
- 인간이 갖고 있는 존재의 가치는 무엇보다도 더없이 소중하다는 인식
- 언어나 태도 등을 통해 명확히 표현해야 함


● 내담자의 능력에 대한 신뢰
- 내담자의 자기지시(self-direction) 능력에 대한 상담사의 신뢰를 의미
- 신뢰를 상담 장면에서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표현하는 것은 인간 중심 상담에서 매우 중요한 일


● 상담사의 자기 이해
- 상담사의 철저한 자기이해가 선행되어야만 내담자에 대한 존중과 신뢰가 표현될 수 있음
- 자기이해방법 : 상담 장면 녹음, 상담 내용 분석 등


3) 인간 중심 상담의 발전 과정
① 비지시적 단계(1940~1950)
② 내담자 중심 단계(1951~1957)
③ 경험적 단계(1958~1975)
④ 인간중심 단계(1975년 이후)


2. 부적응행동의 근원
① 자기실현경향성의 좌절
② 조건적 가치의 습득
③ 자기개념과 불일치한 경험


1) 자기실현경향성 욕구의 좌절
● 실현경향성
- 생리적/심리적 욕구를 통해서 자신을 성장 및 유지시키려는 경향성으로 모든 유기체들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것
- 무엇이 되고자 하는 충동이자 자신의 능력을 표출하고자 하는 성향
- 개인의 성장과 성숙을 추구하는 삶의 중요한 동기
- 자기(self) 또는 자기 개념(self concept) 발달의 바탕이 됨


● 자기 개념(self concept)
- 자신(I or me)에 대한 일련의 의식 또는 가치체계
- 성격의 중심이며 개개인 행동의 일관성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
- 인간은 항상 자기의 잠재력을 발달시켜 자아 개념을 향상시키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음 =
자아실현경향성


● 자아실현경향성
- 가치화 과정을 통해 형성
- 가치화 과정이란?: 자신이 경험한 것이 자기실현경향성을 촉진시켜 주는지 아니면 방해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자기 개념에 반영
- 이러한 평가 과정은 자신의 평가 + 타인의 평가를 통해 이루어짐


●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 가치화 과정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으면 = 긍정적 자기개념 발달
- 가치와 과정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으면 = 부정적 자기개념 발달
- 자기 개념이 부정적으로 형성될수록… → 자아방어적 행동을 하게 되어 자신의 경험을 개방하지
못하고, 왜곡된 지각을 하게 되어 결국 부적응 행동을 초래하게 됨


2) 조건적 가치의 습득
● 자아존중감
- 자기개념의 긍정적 측면
- 인간이 타인으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받으려고 하는 것은 바로 자아존중감 욕구를 충족하려는
동기가 작용하기 때문
- 자아존중감 욕구는 매우 강한 동기이기 때문에 유기체 본래가 가진 생득적 실현경향성을
능가하기도 함
- 따라서, 실현경향성과 자아존중감 욕구는 반드시 충돌할 수밖에 없는 관계에 놓여 있음


● 조건적 가치
- 조건적 가치: 어떤 조건이 전제된 가치
- 즉, 유기체 본래의 가치를 버리고 타인의 가치를 억지로 받아들인다는 의미 = 조건적 가치의
습득
ex) 아이가 엄마에게 애정과 관심을 받기 위해(자아존중감 욕구) 자기가 하고 싶은
놀이(실현경향성)를 포기하는 경우

●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 성인들이 주는 메시지 = 조건적 긍정적 관심 : ‘내가 하라는 대로 하면 너를 사랑하고 인정할
것이다’
- 이렇게 자란 아이는? : 남의 기대에 따라 행동하게 되고, 그래야 칭찬받고, 주목받고, 보상받게
된다고 생각
- 이런 태도는 진정한 자기 자신을 발달시키지 못하고 타인의 기준에 부합하려고 노력하도록
만듦
- 따라서 내적 경험을 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잠재력을 발달 시키지 못하게 만듦


3) 자기 개념과 불일치한 경험
● 불일치 경험
- 불안 유발: 자기 개념과 자신이 경험하는 것 간에 불일치를 느끼면 불안을 느끼게 됨
- 심하게 되면 병적 성격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음
- 불일치의 유발 원인은? :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 간에 차이가 있을 때 일어나며 이것은
개인에게 위협으로 작용
- 위협을 받으면 자기의 경험에 대해 폐쇄적이고 자아방어를 하게 만듦


● 자아방어
- 위협에 대처하는 일종의 바람직하지 않은 대처 행동
- 대표적 자아 방어의 형태
① 왜곡
* 현재의 자아상과 일치하는 형태로만 경험하려고 하는 일종의 합리화 방식
* 자기 개념이 손상 받지 않는 방향으로 그릇되게 지각하는 것
② 부인
* 위협적 경험을 의식적으로 피함으로써 자기 개념을 보존하는 것


● 신경증
- 경험한 것과 자기 개념 간의 불일치 정도가 크거나, 자주 일어나서 높은 불안을 경험하게 되어
일상생활이 파괴될 정도가 되는 것
- ‘무방비 상태’ : 불안이 너무 커서 자아방어조차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자기 개념이
산산조각 나고 성격 파탄과 정신병리가 초래되는 것


3. 상담의 목표 및 상담 기법


1) 상담의 목표
●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fully functioning person)
- 인간 중신 상담에서 지향하는 궁극적 목적
- = 자기실현을 한 사람
- 자신의 잠재력을 인식, 능력과 재능을 발휘, 자신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경험을 풍부히 하는
방향으로 이동
* 경험에 대해 개방적
* 실존적인 삶을 영위
* 자신을 신뢰
* 자유스럽게 살아가기
* 창조적으로 살아가기


● 상담사의 임무는?
- 인간의 잠재력을 믿는 것
- 상담사가 목표를 정하는 것은 내담자의 기본 본성을 침해하는 일
- 따라서, 상담 목표는 내담자가 스스로 결정하도록
- 상담사는 내담자를 조력하고 장애를 제거하도록 안내함으로써 내담자 스스로 정상적으로
성장하도록 조건을 제공해 주는 것


2) 상담사의 역할

비지시적 태도 내담자에 대한 수동적인 태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비지시적 태도를 취하는 동시에 적극적 관심을 전달
감정이입적 이해 empathic understanding
내담자가 바라보는 세계를 상담사가 그대로 지각하고 이해하는 일
상담사의 공감적 이해, 긍정적 배려, 진실성 등을 의미

3) 상담의 기법
● ‘지금-여기’에 존재하고 있음을 강조
- 상담사는 내담자의 과거에는 관심 없음
- 특정 상황/사건에 대해 ‘지금 현재 어떻게 느끼는가’에 대한 감정이 자신의 행동 형태 전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일깨워주기


● 지적 요소보다 정서적 요소에 보다 집중하기
- 인간은 정서로 인해 인식이 차단되는 경우가 많음
- 즉, 사람들은 특정 사태에 대해 지적으로 이해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정서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지적 이해만으로는 행동변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음
- 따라서, 상담사는 가능한 한 감정에 대하여 정확하게 피드백해주는 능력을 갖추어야 함
∴ 즉, 인간중심 상담에서는 상담의 기술을 강조하기 보다는 상담 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음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