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사, 상담심리학과 필수과목 상담심리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8. 행동주의 상담
8. 행동주의 상담


1. 행동주의 상담이란?
1) 행동주의 상담 = 행동 치료(behavior therapy)
- 부적응 행동을 치료하기 위하여 행동주의 학습 이론을 체계적으로 상담에 적용하는 접근법
- 외현적으로 관찰 가능한 행동이나 증상에 초점
* 초기: 자극-반응 연합, 강화, 반복 등의 행동주의 학습만을 적용
* 현재: 의지, 통찰, 사고와 같은 인지주의 학습 원리까지 포섭
- 과학에 근거한 실증주의와 경험주의에 뿌리를 둠
- 부적응 행동 = 학습된 것 → 따라서 학습 원리에 의해서 치료 가능
∴ 즉, 인간의 행동에 관해서 실험적으로 확립된 행동원리를 행동 수정에 적용하는 기법
- ‘현대의 학습이론의 원리에 근거하여 인간의 행동이나 정서를 수정하는 치료기법’ (H. J.
Eysenck)
2) 행동주의 상담의 전개 과정
● 1920년 대
- Watson & Rayner(1920): 행동주의 심리학의 학습 원리를 적용해 의도적으로 행동 변화를
처음으로 시도(알버트와 흰 쥐)
- Jones(1924): 학습된 공포를 제거하는 역조건화에 성공
● 1930~1940년 대
- Max(1935): 혐오 기법을 이상행동 치료에 적용
- Pavlov(1941): 고전적 조건화 원리를 정신 치료에 적용
- 이러한 시도들은 행동 변화를 일으키는 데에는 성공적이었지만 임상에 바로 적용가능 할
정도로 정교한 것은 아니었음
● 1950년 대
- 행동주의 상담이 발전하여 당시 주류인 정신분석치료에 도전
- Wolpe의 체계적 둔감법
- Eysenck, Lazarus, Miller 등: 행동주의 학습 이론에 기초한 행동치료법을 발전시킴
- Skinner(1953): 『과학과 인간행동』
- Wolpe(1958): 『상호제지에 의한 심리치료』
● 1960년 대
- 행동주의 학습 원리들이 본격적으로 상담에 적용되기 시작
- Meyerson, Threnson 등에 의해 행동주의 상담의 방안, 구체적 상담 사례, 상담 방법들이
제안되고 제시되었음
- 1960년 대 중반 사회학습이론의 대두 → 인지주의 심리학의 개념을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어,
이전에는 배제되었던 학습에서의 인지적 개념들을 받아들이게 됨
● 1970년 대
- Bandura의 사회학습 이론 : 상담에서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지도할 수 있는 자기지도(self
direction)에 초점을 두게 되면서, 인지적 관점이 더욱 혼합
- 사고의 합리성에 대한 고려
▩ 정리하면…
- 행동주의 상담은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발달과 궤를 같이하고 있음
- 상담이 완성되기까지 단일한 이론만이 아니라 다양한 여러 이론들이 다양하게 관여되었음
- 1920년 대부터 적용되기 시작하여 1950년 대~1970년 대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발전되고
임상에 적용되었던 상담 이론


2. 부적응행동의 근원과 이론
1) 부적응 행동의 근원
● 행동주의에서의 부적응 행동이란?
- 부적응 행동 =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 학습된 것
- 학습 = 경험에 의하여 어떤 행동이 습득되거나, 없어지거나, 다른 행동으로 바뀐 것
- 행동 = 외현적 행동 + 내재적 행동
* 외현적 행동: 직접 관찰 가능한 것으로 언어, 동작 등이 대표적
* 내재적 행동: 관찰 불가능한 것으로 사고, 성격, 태도 등이 대표적
- 부적응 행동의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들은?
①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
②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
③ 사회 학습 이론
2) 부적응 행동의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
(1) 고전적 조건 형성(classical conditioning)
- 수동적 조건 형성
- 무조건 자극 – 무조건 반응
- 무조건 자극 + 중성 자극 = 조건 자극
- 조건 자극 – 조건 반응
- 조건화가 일어나게 되면, 이후부터 중성 자극은 조건 자극으로 바뀌어짐
- 발생 가능한 부적응 행동은? : 공포증, 혐오, 불안 등 정서와 관련된 것들
ex) 성폭행 경험으로 인한 남성 기피증, 왕따 경험으로 인한 등교 거부증
(2) 조작적 조건 형성(operational conditioning)
- 조작적 조건화란? : 스스로 한 행동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와 그 행동을 또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현상
- 강화(reinforcement) : 어떤 행동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켜주는 조건을 제공하는 과정
① 정적 강화: 어떤 행위에 대해 학습자가 선호하는 무언가 제공되어 그 행위 빈도가 증가하게
만드는 것
② 부적 강화: 어떤 행위에 대해 학습자가 싫어하는 무언가를 그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그런 행위
빈도가 증가하게 만드는 것
(3) 사회 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
- 관찰 학습(observational theory) : 타인의 행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이제까지 자신의 행동
레퍼토리에 없었던 행동패턴을 새롭게 습득하게 되는 것
- 모델링, 대리 강화, 대리 처벌
- 타인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수용되면 모방,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 억제하는 반응 = 반응
촉진 효과 vs. 반응 억제 효과
3. 상담의 목표와 과정
1) 행동주의 상담의 기본 가정
① 문제 행동의 원인보다는 행동 자체에 관심
② 학습의 원리는 부적응 행동 치료에 효과적
③ 구체적이고 분명한 행동에 치료의 초점을 둘 것
④ 내담자의 문제에 맞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정
⑤ 현재 행동에만 관심을 가짐
⑥ 과학적 증거, 경험적 효과가 있는 방식만을 사용할 것
⑦ 행동의 변화는 사고의 변화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⑧ 복잡한 행동 학습은 세부 행동을 나누어서 점진적으로
⑨ 반복 행동을 통한 행동 수정을 선호 (재학습 선호)
2) 행동 평가(행동 분석)
- 치료 대상인 행동이나 증상에 대해 정확하게 평가하는 과정
- 지금 내담자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행동을 명확히 하고, 그 행동이 관여하는 요인을 밝혀내는
것이 주요 목적
- 이를 통해 부적응 행동을 조작하기 위한 적절한 치료 기법을 선택하고 적용할 수 있게 됨
● 표적 행동(target behavior)
- 행동 평가에서 문제가 되는 치료 대상 행동
* 개인이 고민하고 있는 행동
* 주위에서 힘들어하는 행동
- 행동 평가에서는 이 행동의 출현이나 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함
자극제시(S) ▷ 인지(O) ▷ 반응(R) ▷ 수반성(K) ▷ 결과(C)
- 어떤 선행 자극(S)에 의해 생성되었는가?
- 내담자(O)는 그 자극을 어떻게 해석하고 인지하고 있는가?
- 이에 의해 어떤 반응(R)이 나타나는가?
- 이 반응에 수반되는 경험(K)은 무엇인가?
- 수반되는 경험에 따른 새로운 반응의 결과(C)
→ 이러한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가운데 부적응 행동이나 문제 행동이 생성되어 지속, 고착되게 됨
3) 대표적인 상담의 기법
● 자기주장 훈련(assertiveness training)
- 대인 불안이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 생각/의견을 말하게 하여 불안을 감소시키려는 방법
- 자기주장 행동: 상대방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쾌하게 하지 않고 자기 권리, 욕구, 의견, 생각,
느낌 등을 솔직하게 나타내는 행동
- 상담사의 역할: 자기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 못할 이유도 없고, 불안을 느낄 근거도 없음을 말해
준 다음, 내담자가 표현해보도록 격려
- 실제 생활에서 타인으로부터 긍정적 반응을 얻으면 강화됨
●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을 위계로 작성하고 낮은 것에서부터 높은 것으로 하나씩 상상해 가면서
근육이완을 통해 불안을 제거해 나가는 기법
- 불안, 공포, 스트레스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
- 선명하게 떠올랐음에도 불안을 느끼지 않는다고 내담자가 대답하면 그 문제는 제거된 것으로
판단
● 자극 포만법(stimulus satiation)
- 부적응 행동에 대한 정적 유인가가 있는 자극에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함으로써 그 자극에
대하여 정적 유인가를 상실하도록 하는 기법
- 한꺼번에 많이 주기 vs. 감당 못하게 자주 주기
ex) 술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진저리가 나도록 술을 마시게 함으로 술을 싫어하게 만들어
금주시키기
● 행동 조형(shaping)
- 복잡한 행동을 습득시키기 위하여 행동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각각을 차례로 학습시켜 전체
행동을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
- 강화의 원리가 내재되어 있는 방법
● 토큰 강화법(token system)
- 강화를 활용할 때 1차 강화물이 아닌 2차 강화물을 활용하는 것
- 토큰: 스티커, 스탬프 등을 주로 활용
- 미리 약속한 일정 수량에 토큰이 이르게 되면 약속된 보상을 줌
● 역할 연기(role play)
- 일상생활 속에서 어떤 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에게 실제 장면이나 극적 장면에서 그
역할을 해보게 하는 것
- 연습을 통해 역할을 잘해 보게 하는 기법
- 처음에는 상담실에서 하지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장면과 유사한 곳에서 연습하는
것이 좋음
● 자기 지시(self-instruction)
- 불안을 줄이거나 부적응 행동을 적응 행동으로 바꾸기 위해 자신에게 스스로 지시하거나
말하는 방법
- 정서 안정을 위해 근육 이완을 하도록 하는 지시, 비합리적 생각을 합리적 생각으로 바꾸는
지시, 구체적 행동을 하도록 하는 지시
● 행동 계약(behavior contracts)
- 정해진 기간 내에 어떤 행동을 하기로 당사자끼리 문서로 약속하는 기법
- 내담자와 상담사, 내담자와 그의 중요 인물(친구, 부모, 배우자 등)
- 계약을 지키면 보상이 주어지만 해약 시 처벌이 주어짐
- ‘너는 나를 위해 ~를 하는 대신 나는 너를 위해 ~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