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사, 상담심리학과 필수과목 상담심리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정신분석 상담1

1. 정신분석 이론
● Sigmund Freud(1856~1939)
- 정신분석의 창시자
- 체코슬로바키아 모라비아 출생
- 3남 5녀 중 장남
- 비엔나 의대
- 1881년 의사 자격 취득
- Josheph Breuer에 감명
- 히스테리아 연구
- 심리학, 생물학, 교육에 관심
- 아버지 vs. 어머니
1) 정신분석 이론
● 정신분석
- 인간의 문제 행동의 원인을 밝혀내어 그것을 치료해 나가는 과정
- 관심 대상: 무의식, 성격 구성 요소의 문제, 자아방어의 원인 등
- 인간 행동을 결정하는 역동적 힘의 근원을 무의식으로 규정 → 무의식은 부적응, 신경증, 신경
질환의 근원
- 관심 대상: 환자의 성격 재구성 → 환자의 현실 적응
- 20세기에 발견한 하나의 위대한 업적으로 인정받음
- 인간의 정신생활을 이해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이론으로 평가받음
- 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등에 영향
- 신프로이트 학파: Jung, Adler, Horney, Fromm, Sullivan 등
2) 주요 개념
- 리비도(libido) : 성적 에너지→삶의 에너지
- 에너지 질량보존의 법칙 : 리비도는 변하지 않는 존재
- 행동의 동기 : 생물학적 충동 + 무의식
- 결정론 : 생의 초기 5~6년의 경험
3) 정신의 구조
(1) 의식(consciousness)
- 우리가 깨닫고 있고, 쉽게 인출할 수 있는 재료를 담고 있는 차원
- 현상에 대한 현재의 느낌
- 우리는 의식을 통해 현실과 관계하고, 현실에 입각해 반응할 수 있음
(2) 전의식(preconsciousness)
-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잠시 인식 밖에 있는 내용
- 스스로 노력하거나, 단서가 주어지면 의식으로 끄집어 올릴 수 있는 것
(3) 무의식(unconsciousness)
-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욕망, 충동 등이 억압되어 있는 것
- 노력한다거나, 단서에 의해서도 의식화되지 않음
- 무의식의 형성 경로
①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많은 정보 중에 의식되지 않는 것들
② 의식한 재료였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기억에서 사라진 것들
③ 경험한 것을 의도적으로 의식하지 않으려고 노력한 것들
- 무의식이 인간의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줌
4) 성격의 구조
● 원초아(id)
- libido의 생물학적 요소
- 심리적 에너지의 원천
- 본능이 위치: 성충동, 공격 욕구, 생리적 욕구
- 맹목적으로 내적 욕구 충족만을 추구
- 논리성과 현실성이 결여
- 대부분 무의식 상태: 원초아에 의해 일어나는 행동은 잘 의식하지 못하고 그 이유도 분명히
인식되지 않음
- ‘쾌락의 원리’의 지배: 현실적 사고가 부족하여 오직 결핍된 욕구만 충족하는 행동을 함
- 생의 초기일수록 차지하는 비중이 큼: 유아기적 성향
● 자아(ego)
- libido의 심리적 요소
- 원초아의 본능과 외부 현실 세계를 중재하는 역할
- 논리적 사고: 원초아의 욕구를 안전하게 충족시켜 현실에 적응하게 함
- 의식 세계에 존재
- ‘현실의 원리’: 원초아나 초자아를 통제하여 현실적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행동을 안내하는 역할
- 자아의 원리라도 반드시 도덕적,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것은 아님
- 성인일수록, 지적으로 성숙된 사람일수록 우수
● 초자아(superego)
- libido의 사회적 요소
- 이상을 추구하는 심리적 구인
- 전통적 가치관과 사회적 이상이 자리잡는 부분
- 어린 시절의 의미 있는 타인(부모)로부터 영향을 받기 쉬움
- 의식적인 부분 + 무의식적인 부분
- ‘도덕의 원리’: 도덕에 위배되는 원초아의 충동을 억제하고 자아의 현실적 목표를 더 도덕적이고
이상적인 것으로 이끄는 역할
- 극단적일 경우에는 부적응을 초래: 우리의 도덕과 양심대로만 한다고 모두 적응적인가?
- 도덕적이고 양심적인 행동이라도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2. 부적응 행동의 원인과 치료 논리
1) 부적응행동의 원인 : 억압된 무의식
- 무의식적 갈등이나 억압은 부적응행동의 한 가지 원인이 됨
- 성격 장애, 신경증, 정신병 등을 야기함 → 무의식적 갈등에 대한 환자 나름의 해결책
- 억압되어 있던 과거의 사건을 현재가 촉발 → 유사한 맥락이 주어지면 억압되어 있던 공포,
불안,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가 되살아남
- 이 때, 사람들은 현재의 정서가 과거에 경험한 사건임을 인지 못함
- 과거 사건을 인식하고 거기에 내포된 정서에너지가 해소되지 않으면 이러한 반응행동은
계속적으로 반복됨 → 성격 장애 발생
2) 부적응행동의 원인 : 성격 구성 요소 간의 불균형
- 상호 경쟁하는 세 가지 성격 요소들의 상대적 세력과 관련
- 자아는 원초아 통제, 초자아는 원초아와 자아 통제
- 어느 한 요소가 너무 강하거나 양하면 부적응 행동을 초래: 세 요소 세력의 균형을 이루면서도,
때와 장소에 맞게 탄력적으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한 성격
- 원초아가 너무 강하면? 동물적인 사람
- 자아가 너무 강하면? 약삭빠른 사람
- 초자아가 너무 강하면? 지나치게 융통성이 없는 사람
3) 부적응행동의 원인 : 불안
- 불안: 원인을 모르는 가운데 두려움을 느끼는 것
- 불안의 원형 = 신생아가 받는 충격
- 불안의 원인
① 현실적 불안
* 자아가 현실을 지각하여 느끼는 불안
* 실제적 위험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해 주는 기능
* ‘객관적 불안’ : 불안의 원인이 외부에 있는 것
* ex) 자동차가 자기 쪽으로 달려올 때 느끼는 불안
② 신경증적 불안
* 자아가 원초아를 통제할 수 없을 것이라는 두려움과 긴장감에서 나온 정서 반응
* 이 불안이 지나치면 이성을 잃고 충동적 행동을 하게 됨
* 신경증, 정신병으로 발전
* 원초아에 의한 행동에 대하여 위험을 감지하면 나타나는 불안
* ex) 파는 음식에는 누가 독을 넣었을까 음식을 안 사먹는 것
③ 도덕적 불안
* 초자아가 자아를 압도하는 것: 자아가 초자아에게 처벌받을 것을 두려워할 때 나타나는 불안
* 자신의 잘못에 대하여 죄책감을 가짐
* 죄책감이 심하면 속죄를 받기 위해 고의로 처벌을 받는 일을 저지르기도 함
4) 부적응행동의 원인 : 욕구의 좌절
- 인간은 본능을 추구하는 존재
- 행동은 5~6세 이전의 여러 충동 및 경험에 영향을 받음 → 이런 욕구의 충족/좌절 여부에 따라
성격이 달라짐
* 충동/경험: 무의식적 성적 충동, 공격 충동, 심리성적 경험 등
- 인간의 본능 = 원초아 : 원초아의 욕구가 좌절되면 원초아의 에너지는 부적응 방향으로 분출
- 무조건, 늘 이런 욕구가 충족되어야 할까? : 아니다. 지나치게 욕구가 충족되면 그 욕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고착 현상이 생길 수도 있음
5) 부적응 행동에의 접근법
● 무의식을 자각하여 자아의 통제권을 확보하기
- 현재 문제행동의 원인이 과거의 경험임을 깨달아야 문제행동 치료가 가능함
- ‘무의식의 의식화’
- ‘증상’ 그 자체보다는 ‘내적 갈등’에 집중하기
- 최면술, 꿈의 분석, 자유연상법 등을 사용
● 성격의 세 요소간의 규형을 유지/이동시키기
- 적응=자아가 무의식에 억압된 충동을 이해하고 원초아와의 갈등을 해결하여 본능적 층동에
지배되지 않고 현실적이고 합리적으로 적응하게 되는 것
- ‘자아 지배적 성격 구조’로 변화시키기
- 정신분석의 지향점 = 성격구조의 재구성
6) 치료의 목표
● 정신분석의 목표
- 인간의 내면에서 솟구치는 욕구나 충동을 현실적 관점에서 조정
- 내담자가 보다 깊은 자기인식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자기통제 능력을 강화하는 것
- 내담자가 자신의 가능성을 스스로 발견하고, 이 가능성을 더욱 발휘할 수 있도록 선택/결정하는
능력을 획득하게 하는 것
- 내담자가 심리적 통합체험을 통해 인격적/정신적 성숙의 촉진을 지원하는 것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