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경영학, 인간관계, 처세술 등 리더십 핵심 요점 정리 14.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개념

magdaglia 2024. 8. 6. 06:29
728x90
반응형

14.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개념

1) 카리스마 리더십의 의의


(1) ,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과 거의 같은 동의어로 쓰이거나 동의어까지
는 아닐지라도 매우 유사한 개념으로 설명됨


(2) (charisma) (gifts) , 카리스마 라는 어원은 그리스어의 재능 에서 유래되었으며 기독교
성서에서는 일반적으로 예언 교훈 지혜 , , 및 치료 등의 특별한 능력에 관계되어
사용


(3) (M. Weber) 1920년대 베버 가 처음으로 권한의 한 형태로서 카리스마적 권위
(charismatic authority)라는 용어를 사용


(4) 당시 카리스마의 개념은 대중으로부터 천부적인 능력자로 비춰져 맹목적인 추종
과 무조건적 헌신을 이끌어내는 영향력이라 이해했음


(5) 대중이나 조직구성원들은 카리스마가 있는 사람을 자신의 욕구나 기대를 해결시
켜 줄 수 있는 비범한 능력자로 받아들여져 그가 제시하는 비전이나 지시에 적극
따르게 된다는 논리가 카리스마리더십 이론의 핵심을 이룸


(6) 지금까지 연구된 카리스마 이론
House(1977)의 카리스마 특성 및 행동이론
♤  Conger & Kanungo(1987)의 카리스마 귀인이론
♤  Shamir(1991a, b)의 카리스마 자아개념 이론 등


(7) , , , 케네디 처칠 알렉산더 간디 등 역사적인 지도자들이 보여줬던 강하고 냉철하면
서도 항상 미래에 대한 희망의 사도로서의 능력이 카리스마적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


(8) 카리스마 리더십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
♤  자기 확신 이미지 , , , , 관리 이데올로기와 비전 솔선수범 감정적 호소
♤  자기 확신 : , , 카리스마 리더들은 고도의 자신감 자기의 신념에 대한 높은 확신 그리고 남들
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음
♤  이미지 관리 : 카리스마 리더는 자기가 유능하고 성공적이라는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부단히
노력함
♤  이데올로기와 비전 : . 멤버들에게 이데올로기적 목표를 제시
카리스마 리더는 부하의 희망과 감성에 호소
♤  솔선수범 : 카리스마 리더들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부하에게 보여줌
♤  감정적 호소 : ‘ ’ 총화단결 적을 , ‘ 무찌르자 일하자 더 !’, ‘ ! ! 일하자 등 ’ 부하와 감정적 대화를
갖거나 연설로 호소함으로써 그들을 설득하고 추종하게 만듦

 

2) 카리스마의 두 가지 관점


(1)사회학적 관점
♤  Weber의 이론 중 사회 구조와 관련된 것에 초점을 둠
♤  어떤 사회적 상황에서 카리스마적 리더가 등장하고 이러한 , 카리스마적 리더가 사회구조의
변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연구


(2)심리학적 관점
♤  리더의 개인적 특성이나 카리스마적 리더의 행동 등에 초점을 둠
♤  조직 행동 분야에서 발전했는데 일반적으로 신 카리스마적 리더십 패러다임이라고 함


3) 카리스마 리더십의 3가지 접근방법


♤  카리스마를 리더 개인이 갖는 특성으로 보는 관점이 있는가 하면 사회적 , 교환관계의 입장에
서 해석하는 이론가들도 있음
♤  또한 추종자들이 리더를 카리스마적 속성을 갖고 있다고 인식하게 되는데 초점을 둔 인식론
의 차원에서도 해석을 할 수 있음


(1) 카리스마적 리더의 개인적 특성으로 보는 관점
♤  여러 가지의 심리적 또는 , 신체적 특성들이 카리스마 형성에 관계되는 것으로 보고 있음
♤  자신감 뛰어난 , , , , , , 언변 에너지 열정 타인에 대한 지배성향과 끈기 외모에서 풍기는 위용 매
력 등 개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에 따라서 카리스마가 발휘 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
♤  위에 사항처럼 구체적으로 어떤 특성이 카리스마와 관계되는가에 대한 정확한 결과는 없음
♤  Weber , , , 는 카리스마적 리더의 특성을 예외적 혁명적 신비적 영웅적인 것으로 파악했으며
원대한 목표, , 능력 결단력 등을 제시
♤  House , 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개별특성으로 고도의 자기 확신 지배경향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자 하는 욕구 자기믿음에 , 대한 강한 확신 등을 제시


(2) 사회적 교환관계 관점의 연구
♤  카리스마는 리더와 그의 추종자들은 서로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갖게 됨
♤  리더는 추종자들의 지원과 적극적 복종을 필요로 함 그에 . 대하여 추종자들은 리더가 자신들
의 욕구를 해결해 주고 혜택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게 됨
♤  리더가 만약 그러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면 추종자들은 기존의 복종이나 지원을 회수 할
수도 있음
♤  리더와 그의 추종자들은 서로 의존관계를 형성하게 됨
♤  House는 카리스마를 리더와 구성원의 특수한 관계에서 발생한다고 함
♤  즉 구성원이 리더의 사상을 옳다고 생각하고 애정을 갖게 되며 리더가 , 내세우는 조직의 사
명에 감정적으로 몰입하게 되면 리더가 , 카리스마를 갖게 된다는 것

 

(3) 카리스마적 리더에 대한 인식론적인 연구
♤  Conger Kanungo 와 는 카리스마가 귀인현상의 하나라는 가정에 근거한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주장
♤  구성원이 리더 행동의 관찰에 근거하여 어떤 카리스마적 특징들은 리더에게 귀인 한다는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