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8. 명령문의 일반적 특징과 언어권별 특징
38. 명령문의 일반적 특징과 언어권별 특징
1) 명령문의 특징
(1) 특별한 동사 없이 통사적으로만 실현(1/4)
♠ 주어는 대개 생략(선택적으로 나타남)
♠ 동사는 기본형이나 원형 사용(접사, 어미 없음)
♠ 영어, 중국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주로 고립어)
a. Stand up! b. Be careful! |
(2) 특별한 동사로 실현(3/4)
♠ 2인칭 단수, 복수 구별 없이 동일 형태 사용(20%)
- 예) 한국어, 일본어 등
♠ 2인칭 단수, 복수 다른 형태 사용(80%)
- 예)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2) 언어별 명령문의 특징
(1) 한국어
♠ 2인칭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 사용
예) 밥 먹어라, 너는 공부를 해라
♠ 명령형 종결어미 사용
예) -아/어/거/너라, -어, -게, - 십시오
-지 마라, -지 마십시오 등
♠ 명령문이 아닌 다른 형식을 통해서도 표현
예) 아름다운 사람은 머문 자리도 아름답습니다.
♠ 명령의 의미로는 지시, 청원, 허락 등이 있음
예) 약속을 잘 지켜라 (지시)
여기 앉으십시오 (청원)
그렇게 하게나 (허락)
(2) 일본어
♠ 2인칭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주어를 사용함
♠ 명령에 있어 정중함의 단계가 있음
♠ 거친 명령, 부드러운 명령, 정중한 표현
예) 食べる[taberu] (‘먹다’의 기본형)
→ 食べろ[tabero]
→ 食べて[tabete]
→ 食べなさい[tabenasai]
(3) 중국어
♠ 2인칭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주어를 사용함
♠ 명령문에 따른 형태 변화는 없음
♠ 부드러운 명령을 위해 문장 끝에 吧[ba] .好吗[haoma] 문장 앞에 请[qing]을 씀
예) 你[ni] 너 走[qu] 가다 吧[ba]
请[qing] 进[jin] 들어오다
♠ 부정 명령 문장에 別[bie], 不要[buyao]을 씀
예) 別[bie]말다 吃[chi]먹다 먹지 마라
(4) 영어
♠ 2인칭 주어 생략, 경우에 따라 사용 가능하며 사역동사 let으로 시작하는 명령문의 경우
1,3인칭의 목적격으로 주어 표시를 할 수 있음
예) Let me go
Let him go
♠ 동사는 원형을 사용함. 강조를 위해 동사 앞 Do 사용하고 부정 명령은 Do not을 사용하여
표현함
예) Do come in!
Don’t go!
♠ 부드러운 명령을 위해 please를 사용함
예) Please, don’t sm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