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언어학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5. 음운대조
magdaglia
2024. 4. 4. 22:20
728x90
반응형
5. 음운대조
- 음운대조는 대조언어학에서 가장 잘 발달된 분야
- 음소대조/ 분절음 –자음, 모음
- 운소대조 / 초분절음 – 성조, 장단, 악센트, 억양
♠ 변별적으로 작용하는 분절음, 초분절음은 언어마다 다름.
1) 자음과 모음
- 대조 분야: 조음의 위치적 특징과 조음 방법적 특징
- 한국어
♠ 자음 조음 위치는 타 언어에 비해 단순
♠ 자음 조음 방법은 기(氣, aspiration)의 세기에 따른 삼지적 대립이 존재
♠ 모음 조음 위치는 ‘어’와 ‘으’ 모음이 비교적 유표적
2) 음절구조와 음운현상
- 대조분야
♠ 초성, 중성, 종성 등에 나타나는 자음과 모음의 수를 대조
♠ 음절의 위치에 따른 특별한 음소배열 제약 여부를 대조
- 한국어: 자음동화 현상 (비음화, 유음화)가 특징적.
3) 여러 언어의 음운대조
영어 | 한국어 | 베트남어 | 일본어 |
model | 모델 | 모덴 | 모데루 |
file | 파일 | 파인 | 화이루 |
bus | 버스 | 뷛 | 바스 |
world cup | 월드컵 | 원굽 | 와루도캅푸 |
Mc Donald | 맥도날드 | 막도난 | 마쿠도나루도 |
4)음운 분야에서 나타나는 학습자 오류의 예
Ⓐ 얼음[어럼] 어른[어런] 있으면[이써면]:영어권 화자
♠ 한국어 ‘으’모음을 ‘어’모음으로 발음하는데 영어에는 ‘으’모음이 없어 ‘으’발음이 쉽지 않기
때문
Ⓑ 여자[요자] 여기[요기] 여름[요르므]: 일본어권 화자
♠ 한국어 ‘여’모음을 ‘요’모음으로 발음하는데 일본어에는 ‘여’모음이 없기 때문
Ⓒ 환영[화닝] 명사[밍사] 의지[으어지] : 중국어권 화자
♠ 중국어에는 이중모음인 ‘여’모음이 없어 ‘이’모음과 비슷하게 발음하거나 ‘야’모음으로 발음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