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심리학

나의 성격은? 상담, 심리학 필수 성격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16. 분석심리이론의 평가 기법

magdaglia 2024. 1. 11. 10:34
728x90
반응형

16. 분석심리이론의 평가 기법

 

◆ 분석심리학에서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평가기법은 객관적 검사 및
투사법에서 꿈 분석의 사용에 걸쳐 다양(단어연상검사, 증상분석, 사례사, 꿈 분석,MBTI)


1) 단어연상검사
◆  개인이 어떤 자극단어에 즉각적으로 마음에 떠오르는 어떤 단어로 반응하는 투사 기법
◆  1900년대 초에 융은 정서를 유발한다고 믿었던 100개의 단어 목록을 가진 단어연상검사로
환자들이 갖는 콤플렉스를 밝히는데 사용
◆  방법 : 각 자극단어에 환자가 반응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자극단어의 정서적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생리적 반응을 측정


2) 증상분석
◆  환자가 보고하는 증상에 초점
◆  분석자는 환자로 하여금 증상에 대한 자유연상을 하도록 하여 그러한 내용을 해석하는 것
◆  환장의 증상은 분석자의 증상 원인에 대한 해석을 통해 감소되거나 사라짐

1 머리 21 잉크 41 61 81
2 초록색 22 나쁜 42 미련한 62 사랑스런 82 좁은
3 23 바늘 43 공책 63 유리컵 83 형제
4 노래한다. 24 헤엄친다. 44 멸시한다. 64 다툰다. 84 겁낸다.
5 죽음 25 여행 45 손가락 65 모피 85 황새
6 길다란 26 푸른 46 소중한 66 커다란 96 틀린
7 기선 27 등불 47 67 당근 87 불안
8 돈 낸다. 28 죄짓는다. 48 떨어진다. 68 철한다. 88 키스한다.
9 창문 29 49 69 부분 89 새색시
10 다정한 30 풍부한 50 부당한 70 늙은 90 맑은
11 책상 31 나무 51 개구리 71 91
12 질문한다. 32 찌른다. 52 가른다. 72 때린다. 92 고른다.
13 마을 33 동정 53 굶주림 73 상자 93 마른 풀
14 추운 34 노란 54 하얀 74 사나운 94 만족한
15 줄기 35 55 아이 75 가족 95 비웃음
16 춤춘다. 36 죽는다. 56 주의하다. 76 씻는다. 96 감긴다.
17 호수 37 소금 57 연필 77 젖소 97
18 병든 38 새로운 58 슬픈 78 낯선 98 예쁜
19 자랑 39 풍습 59 살구 79 행복 99 여자
20 요리한다. 40 기도한다. 60 결혼한다. 80 속인다. 100 욕한다.

 

3) 사례사
◆  심리적 장애의 발달사를 추적하는 데 사용됨
◆  자신의 사례연구를 ‘생애사 재구성’이라고 부름.
◆  환자로 하여금 과거 경험에 대해 회상하도록 하여 조사함으로써 현재의 신경증을 설명할 수
있는 발달패턴을 확인하여 생애사 재구성을 하도록 함.


4) 꿈 분석
◆  환자의 무의식을 이해하는 데 사용됨
◆  ‘꿈이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라는 점에서 프로이드의 견해에 동의
◆  but, 융의 꿈 분석은 꿈의 원인 이상에 관심을 두었다는 점에서 프로이드와 다름.
◆  융은 꿈이 무의식적 소망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믿음.
◆  융은 꿈이 미래를 예견해 준다고 봄 ⇒ 꿈은 개인으로 하여금 그가 일어나리라고 기대하는
경험과 사건을 준비하도록 도와준다고 믿음.


(1) 자기실현으로 이끄는 주요한 개념
◆  동시성
- 꿈의 예견성을 뒷받침해주는 것
- 두 사건이 동시에 혹은 근접한 시간에, 논리적으로 인과관계가 없이 독립적으로
일어나지만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의미를 가지는 현상
예) 오랫동안 보지 못했던 친구를 꿈에서 보았는데, 다음날 그 친구가 전날 밤에 죽었다는 소식을 들음.
◆  꿈의 보상
- 꿈은 어떤 정신구조의 지나친 발달을 보상함으로써 상반되는 정신과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고 봄
예) 몹시 수줍어하는 사람은 자신이 파티에서 매우 활동적인 역할을 하는 꿈을 꿀 수 있음.
예) 사업에 실패한 사람이 벤처기업을 창업하여 성공하는 꿈을 꿀 수 있음
- 같은 꿈이라도 꿈 꾼 사람의 성격과 삶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됨. 의식의 태도
여하에 따라서 무의식적인 보상의 정도, 보상의 대상이 달라지기 때문
◆  꿈을 시리즈로 분석 : 프로이드처럼 각각의 꿈을 따로따로 해석하지 않고 일정한 기간에
걸쳐 환자가 보고하는 일련의 꿈들을 함께 분석 ⇒ 환자의 무의식에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주제,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고 믿음
◆  확충법의 사용
- 꿈이 보여주려고 하는 가능한 의미를 밝히기 위함
- 특별한 상징으로 시작하여 그것에서 점점 발전해 가는 자유연상과 다르게, 확충법은
환자와 분석가가 상징들의 이해를 확장하려는 시도로 어떤 주제가 탐색될 때까지 같은
상징들을 계속해서 재평가하고 재해석하는 치료기법
◆  단일한 꿈의 분석은 잘못된 해석으로 이끌 수 있지만, 일련의 꿈들의 분석은 환자가
직면하는 문제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을 달성하는 수단이 됨

 

5) MBTI
◆  성격유형을 측정하는 검사(Myers-Briggs Type Indicator)
◆  MBTI는 융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하여 브릭스와 마이어가 보다 쉽고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자기보고식 성격유형지표
◆ 융의 심리유형론은 인간 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이 보여도, 사실은
아주 질서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
◆  인간 행동의 다양성은 개인이 지각하고 판단하는 특징이 다르고, 선호하는 방법이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

 

<MBTI 4가지 선호지표>

지표 선호경향 주요활동
외향(Extraversion) -
내향(Introversion)
에너지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주의초점
감각(Sensing) - 직관(INtuition) 무엇을 인식하는가? 인식기능 및 정보수집
사고(Thinking) - 감정(Feeling) 어떻게 결정하는가? 판단 및 결정기능
판단(Judging) -
인식(Perceiving)
채택하는 생활양식은 무엇인가? 이행 및 생활양식

 

(1) 의식의 태도 : 외향성(extraversion) vs 내향성(introversion)
◆  심리적으로 흐르는 에너지의 방향
◆  자아와 대상과의 관계에서 자아가 주체가 되어 반응하는 외향성과 외부 자극이 왔을 때에만
반응을 나타내는 내향성
◆  외향적인 사람은 자신의 주관적 견해보다 남들(가까운 사람이나 ‘전문가’등)의 의견, 객관적 조건이
판단과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침. 내향형은 자신의 주관적인 견해가 판단과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침
◆  외향형은 자신이 가진 에너지를 다 쓰고 모든 것에 자기 자신을 집어넣어 퍼뜨리는 반면
내향형은 바깥세계의 요구들에 맞서 자신을 지키고 에너지 지출을 가능한 한 하지 않음
◆  본래의 유형을 판단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의식의 태도가 의식의 태도를 보상하거나 우리가
사는 사회가 외향성을 더 높이 평가하는 면들이 있기 때문 ⇒ 타고난 태도 유형과 반대로
사는 것은 많은 에너지를 요구하며 정신, 육체적 피로와 탈진을 가져옴

 

(2) 지각기능 : 감각(sensing) vs 직관(intuition)
◆  각 개인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것
- 사물, 사람, 사건, 생각들을 지각하게 될 때 나타나는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줌
◆  감각은 감각기관들을 통하여 외적(바깥세계), 내적(몸) 자극들을 보거나 듣는 등의 것
◆  직관은 무의식을 통한 감각, 가능성의 지각
◆  자아와 관련된 정신적 기능에서 비합리적 차원, 이성적 판단이나 의도가 끼어들지 않고
단순히 ‘그냥’ 일어나기 때문


(3) 판단기능 : 사고(thinking) vs 감정(feeling)
◆  자아와 관련된 정신적 기능에서 합리적인 차원
◆  자신이 수집한 정보에 근거해서 행동을 위한 결정을 내리는 것
- 우리가 인식한 바에 의거해서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들 간의 차이점을 알게 해줌
◆  사고는 맞느냐 틀리느냐를 판단
◆  감정은 좋고 편하고 불편함을 판단


(4) 생활양식 : 판단(judging) vs 지각(perceiving)
◆  감각과 직관을 통한 지각과 사고와 감정을 통한 판단으로 이루어진 이러한 기능들을 사용할
때, 어떤 태도를 취하는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