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78. 제작기법 2
78. 제작기법 2
정밀주조기법(Investment Lost Wax Casting)을 장신구 수단으로서 처음 이용한
것은 16세기 이탈리아의 첼리니(cellimi)이다. 그는 원심주조방법(遠心鑄造方法)을 사용
하여 금속을 주입(鑄入)시켜 많은 장신구를 생산하였다.
그가 죽은 후 이 기법은 그다지 성행되지 않다가 이 주조 방법이 누군가에 의해 이어
져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오늘날 비약적으로 발달한 주조술(鑄造術)은 가스 터빈의 날
개를 1cm당 0.005mm의 오차로 만들어 낼 만큼 그 기술이 성장되었으며 치과에 응용
되면서 정밀한 치형을 만들고 드디어는 주얼리산업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여기에서 로스트 왁스 캐스팅의 기본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디자인한 모형을 왁스로 원형 제작을 한다.
② ①을 매몰재(埋沒材 : 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한 물질)로 매몰시켜 굳을 때까지 건조
시킨다.
③ 플라스크를 소성로에 넣어 가열하면 왁스가 녹아서 밖으로 흘러 나와 플라스크의
속은 처음의 왁스 모형대로 빈 공간이 생긴다.
④ 플라스크에 금속을 녹여서 주입시킨다.
⑤ 금속이 식어 굳어지면, 굳은 매몰재를 제거하고 주조된 장신구를 꺼낸다.
⑥ 장신구의 표면에 광택을 낸다.
왁스를 사용하여 위의 ①에서 ⑥까지의 작업단계를 거쳐 장신구를 만들 수 있다.
이 장신구와 똑같은 형태를 2개 이상 제작하고 싶을 때에는, 위의 과정을 거쳐 생산되
어진 장신구을 갖고 고무형을 제작하여, 고무형(rubber mold) 속에 왁스(injection
wax)를 주입시켜 필요한 숫자만큼 만들어 앞에서 기술한 순서의 ②과정 이후부터 똑같
은 공정을 거쳐 많은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밀주조 방법은 처음에 치과 기공에 응용되었는데, 충치로 썩은 부분에 왁
스를 채워서 치아의 형(型)을 만들어 원심주조 공정을 거쳐서 성형된 금속으로 치아의
부분을 메꾸어 넣었다.
치과 치료의 이 모든 공정이 장신구 제조에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30년대의 장신구
디자이너들이 과감히 뛰어들어 치과 기공술을 터득한 것이 시초이다.
그들은 주조 공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을 다시 원형(master pattern)으로 이용하여
동일한 모형의 제품을 양산하기 위해서 그 원형을 기초로 고무형을 만들었다. 이 고무형
의 발명으로 1950년대의 미국의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지에서 왁스의 독특한 성질을 활
용한 새로운 장신구산업뿐만 아니라 예술 세계 및 학교 교육에서도 정밀주조기법은 창
조성 발휘의 좋은 가공방법으로서 크게 이용되게 되었다.
가. 정밀주조의 작업공정
정밀주조의 작업공정은 다음과 같이 9단계로 나누어져 있는데 주조결과 완벽한 제품
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공정이라도 원칙에서 벗어나서는 안된다.
작업의 단계는 9단계로 나누어져 있지만 모든 공정은 필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매
단계 작업의 미흡함은 주조된 결과에서 불량제품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나. 왁스조각
왁스는 고체 상태이므로 조각도를 이용하여 섬세한 형태와 문양을 가공할 수 있으므로
귀금속 가공의 정밀주조 원형(master pattern)을 제작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러한 왁스의 특성을 정밀주조 원형을 제작하는데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세공기법과
병행하여 사용되는데 앞으로는 그 사용의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은 브로치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디자인 → 왁스조각 → 주조 → 후처리 → 보석세
팅 → 완성에 이르기 까지 작업 단계를 그림으로 전개하여 설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