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71. 인체공학적 발상
71. 인체공학적 발상
인체공학(人體工學)이란 인간이 장시간 또는 단시간에 걸쳐 편리함이나 멋을 추구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것을 사용할 때 오는 인체의 변화를 말한다.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병이 생긴다거나 또는 인체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주위엔 많
이 있다. 한 예로 여성들은 높은 구두를 멋 내기 위하여 신고 다닌다. 멋은 있을지 모르
지만 발에 상당한 무리를 준다. 발 뒷굽에 혹이 생긴다거나 발가락이 휘어진다거나 하는
후천성 기형이 생기는 것이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인체공학적으로 무리한 주얼리를 장
시간 착용했을 때는 기형 손가락이 생기거나 또는 목디스크, 날카로운 보석 맞물림에 의
해 상처를 입는 등 여러 가지 형의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다.
(1) 착용감
「착용감이 좋다」라는 말은 편안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림 6-33]의 반지를 관찰
해 보면 반지 안쪽이 둥근형으로 되어 있고 측면을 둥글고 오목하게 처리하여 손가락에
끼울 때 편안하게 들어가고 장시간 착용해도 손가락이 아프지 않도록 하였다. 소지금속
이 피부에 닿는 면적이 적고 공기가 잘 통하여 땀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림 6-34]는 반지 안쪽이 수평으로 되어 있어 손가락에 끼울 때 모서리가 날
카로워 불편하고 장시간 사용했을 때는 혈액순환이 잘 안되고 공기가 통하지 않아 손가
락이 부어오른다. 때로는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아 반지를 자르기도 한다.
그것뿐만 아니라 조각 세팅, 난발 세팅에 마무리가 좋지 않아 값비싼 실크 블라우스나
넥타이 등의 올이 망가지는 경우가 많고 특히, 여성인 경우에는 반지 때문에 스타킹의
올이 빠지는 경우가 많다.
(2) 신체 에네르기(건강)
신체 건강에 유익한 자석, 바이오, 보석의 약효 등 여러 가지 과학적으로 인정받은 것
이 많다.
이것을 이용한 주얼리도 수십 종 유통되고 있으나 건강자체에 포인트를 두다 보니 디
자인이 별로 좋지 않다. 좋은 디자인과 조화를 잘 시켜 준다면 판매성이 더욱 좋은 훌륭
한 디자인 개발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