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디자인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51. 보석과 난집

magdaglia 2023. 9. 23. 09:40
728x90
반응형

51. 보석과 난집

 

1. 캐보션형 보석과 난집

캐보션(cabochon)은 여러 각도에서 면을 내지 않고 둥근 모양으로 깎는 형으로 성채
석(asteria), 묘안석(cat’s-eye), 호안석(tiger-eye), 지라솔(girasol), 월장석(moon
stone), 오팔(opal), 터키석(turquoise) 등을 이 형으로 깎으며 [그림 4-44]와 같이
90° 로 입사한 빛이 반사하여 정상에 오도록 타원형으로 연마하여, 표면 반사의 아름다
움을 나타내기 위한 연마 방법이다.

 

캐보션형의 크기 비율

캐보션형 보석은 [그림 4-45]와 같이 A를 장경, B를 단경, C를 높이라고 하는데, 일
반적으로 장경(A) : 단경(B) : 높이(C)의 비율은 3 : 2 : 1이다.

 

2. 브릴리언트형 보석과 난집

 

가. 브릴리언트 보석 세부명칭
브릴리언트 형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림 4-46]과 같이 58면을 가진 표준 원형
브릴리언트(standard round brilliant)이다.

브릴리언트형

표준 브릴리언트형은 1919년 마르셀 롤코우스키(Marcle Tokowsky)에 의해서 개발
된 것으로 최대의 휘광(brilliancy), 분산(dispersion), 섬광(scintillation)을 얻을 수
있는 이상형이다.
크라운(crown)에는 33개의 면이 있는데, 이것은 테이블(table) 1개, 스타면(star
facet) 8개, 베즐면(bezel facet : 메인) 8개, 윗 거들면(upper-girdle facet) 16개로
되어 있고, 퍼빌리언(pavilion)에는 25면이 있는데 이것은 큐릿 1개, 파빌리온 메인 8
개, 아랫 거들면(low-girdle facet) 16개로 되어 있고, 큐릿은 생략되기도 하며 이 경
우 퍼빌리언은 24면이 된다.


나. 브릴리언트형 보석의 난집과 반지 표현


브릴리언트 형 보석은 보통 투명하며 최대의 휘광과 분산 그리고 투명도의 효과를 높
이기 위하여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는 난집을 제작하며, 반지 형태 또한 보석이 잘 돋보일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다이아몬드형 난집의 작도(1)
다이아몬드형 난집의 작도(2)

 

3. 에메랄드형 보석과 난집

 

에메랄드 컷(emerald cut)은 스텝 컷(step cut)의 일종이다. 다이아몬드, 에머랄드
또는 다른 보석에 많이 사용하는 형으로 주 목적은 색을 돋보이게 하는 것이며, 다이아
몬드에서는 무색을 돋보이게 한다. 코너 면들을 가지며 크라운과 퍼빌리언에 있는 사변
형의 면들은 거들에 평행으로 위치한다. [그림 4-53]과 같이 가로 세로 길이가 같으면
정사각형 에메랄드 컷이라 한다.

 

에메랄드 컷 도면
에메랄드형 난집 완성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