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47. 제도의 표시
47. 제도의 표시
가. 제도 용구
(1) 제도기 : 제도기의 품종은 많으나 콤파스와 디바이더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기타용구 : 용구는 항상 깨끗이 다루고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① T자(T-square) : 수평선을 그으며, 삼각자를 함께 사용한다.
② 삼각자(triangles) : 직각 삼각형으로 만든 자로서 두개가 한 조로 되어있다.
③ 운형자(french curves) : 기하학적인 곡선 이외의 어려운 곡선을 그릴 때 사용된다.
④ 축척자(scale) : 각종 축척의 눈금이 있다.
⑤ 분도기(protractor) : 반원형의 엷은 셀룰로이드판이며 각도를 측정한다.
⑥ 형판(templet) : 엷은 판에 각종 형태를 뚫어 놓는 것이며 작업성을 높인다.
⑦ 제도판(drawing board) : 제도 용지를 붙이는 판으로 수직, 수평을 맞추어야 한다.
⑧ 먹물펜(drawing pen) : 제도 잉크를 넣어 곡선, 문자 등을 쓸 때 사용한다.
⑨ 지우개(eraser) : 연필 지우개와 먹물 지우개가 있다.
⑩ 기타 : 지우개판(erasing shield) , 오일스톤(oil stone), 테이프(tape) 등
나. 제도 기구의 사용법
(1) 연필 깎는 법 : 선을 긋는 연필은 양쪽을 쐐기 모양으로 하고, 문자를 쓰는 연필은
원뿔형으로 깎아서 쓴다. 연필을 누르는 힘을 언제나 일정하게 하여 선의 굵기나 농도를
동일하게 해야 한다.
* 연필의 종류와 용도
종류 | 연한 심지 | 견고한 심지 | |||
질 | 6B~2B, B | HB, H | 2H ~ 4H | 2H ~ 6H | 7H ~ 9H |
용 도 | 스케치용 | 숫자, 문자용 | 제도용 | 상세도용 | 트레이싱용 |
(2) 자 사용법 : 수평선은 T자를 사용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직선은 아래에서 위
로 긋는다.
(3) 디바이더 사용법 : 디바이더는 선의 등분이나 치수를 옮길 때 사용한다.
(4) 컴퍼스 사용법 : 컴퍼스의 바늘은 연필의 끝보다 약간 길게 하여 사용하고, 원을
그릴 때는 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5) 먹줄펜 사용법 : 먹줄펜으로 선을 그을 때는 반드시 수직선으로 세워서, 긋는방향
으로 10~15。 정도 경사지게 선을 긋는다. 또한, 먹줄펜에 먹물을 넣을 때는 작은 조각이
나 붓으로 찍어서 넣고 선을 긋기 전에 모서리를 항상 깨끗이 닦는다.
다. 선의 종류와 용도
선에는 크게 실선, 파선, 쇄선의 3종류가 있다.
(1) 실선은 외형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외형선, 파단선) 등에 사용하며 치수선,
치수 보조선, 지시선, 해칭선에는 가는 실선을 사용한다.
(2) 파선은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에 사용하며 은선이라고도 한다.
(3) 쇄선은 중심선, 상상선, 회전 단면 외형선, 절단선, 경계선, 기준선 등에 사용한다.
* 용도에 의한 선의 종류
라. 선의 비율과 간격
선은 도면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한다. 단, 동일 도면에서는 동일한 비
율의 선을 사용해야 하며, 도면은 일견하여 선의 종별이 선명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 선의 비율과 간격
마. 문자
도면의 품위는 문자에 의해 좌우되므로 다음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1) 문자는 선명하게, 혼동되지 않게 써야 한다.
(2) 높이, 방향, 굵기를 고르게 쓰고 안정되어야 한다.
(3) 제도에 사용되는 문자는 국문, 한자, 영문, 아라비아 숫자이며 그 규정은 다음과 같다.
① 국문과 한자 : 자체를 고딕체로 하고 수직 또는 75°경사로 씀을 원칙으로 한다.
② 영문과 아라비아 숫자 : 수직 또는 경사 어느 쪽도 좋으나 경사체가 널리 사용된다.
바. 치수 기입법
치수는 제도의 생명이다. 도형이 훌륭해도 치수 기입의 방법이 나쁘면 작업 능률에 큰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치수 기입은 크기를 표시하는 것만으로 생각하나 치수는 그렇
게 단순한 것이 아니고 작업 합리화의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기입을 정확하고 합리적으
로 읽을 수 있게 기입해야 한다.
(1) 일반적인 치수선
치수 기입에 사용하는 선은 치수선, 치수 보조선, 인출선이며 모두 가는 실선으로 하
여 외형선과는 구별되게 그린다.
① 치수선은 연속식, 중단식이 있으며, 모두 양끝에 화살표를 기입한다. KS에서는 연
속식을 택하고 있다.[그림 4-2참조]
② 치수선이 외형선과 다른 치수선에 너무 가까우면 치수를 읽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치수선은 외형선으로부터 12~15mm 떨어진 자리에 긋는다. 이것에 나란하게 여러 개
의 치수선을 긋는 경우는 될 수 있는 대로 등간격(10mm)으로 한다.[그림 4-3참조]
③ 외형선, 은선, 중심선, 치수 보조선은 치수선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④ 치수선은 될 수 있는 대로 다른 치수선, 치수 보조선, 외형선과 교차하지 않도록 한다.
⑤ 치수선의 양끝에는 화살표를 붙여서 치수의 범위를 명확히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