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디자인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40. 디자인의 원리 3

magdaglia 2023. 9. 12. 09:00
728x90
반응형

40. 디자인의 원리 3

 

가. 황금분할(golden mean, golden section)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사용하여 온 비례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하고 아름다운 비례
로서, 하나의 선을 크고 작은 2개의 선으로 나누는 경우, 작은 부분의 길이와 큰 부분의
길이의 비(比)가 큰 부분과 전체와의 비에 동등하게 되는 분할이 될 때에 그 미적 효과가
가장 크다.
[그림 3-34]와 같이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작은 부분을 a라 하고, 큰 부분을 b라
할 때 이 선의 전체 길이는 a + b라고 불 수 있다. 따라서 a : b = b : a 이다.

선의 황금분할(점 G)
황금분할 비례를 갖는 도형

(1) 직사각형의 황금 분할


[그림 3-35] (a)와 같이 정방형의 한 면을 1로 하고, 정방형 ABCD에서 BC의 중점 E
를 구하여 ED의 대각선 길이를 반경으로 원호를 그려, BC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 G를
구하여 ABGH 직사각형을 구하면 황금비의 직사각형이 얻어진다.
그 외에도 [그림 3-35]의 (b)에서 GB : BC도 황금비가 된다.
이 황금비는 자연 속에서는 식물의 생활의 구조 조직 속에 존재한다. 잎의 배치, 씨의
구조, 조개껍질이나 벌집의 성장 등에 나타난 것처럼 동식물의 생활의 구조적인 주제로
서 존재한다. 솔방울이나 해바라기의 씨는 이 비례를 자연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예이다.

 

6. 율동

 

율동은 디자인의 각 요소를 종합할 때 또는 각 부분 사이의 상호관계에 의하여 생겨나
는 움직임, 즉 시각적 동세의 형식이다. 다시 말하면 공통요소가 연속적으로 되풀이되는
억양의 톤(tone), 즉 시각적인 운동이다.
디자인에서 율동이 없는 형이나 율동이 흩어진 상태는 혼란을 가져오며, 필연적으로
비례미나 균형미를 느낄 수 없다.
율동은 조화미와 함께 디자인 작업에서 예술적 감동을 높이는 필
수적인 요소이며, 반복되는 악센트, 순환하는 강약, 시각적인 자극
과 자극간의 간격에서 온다.

식물의 덩굴손이나 옥수수의 표면 구조나 조개의 단면,인체의 손, 지문 등은 하나
같이 독자적인 리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7. 착시

 

인간은 눈의 정도를 자랑하였으나 그 눈이 물건을 잘못 보는 경우가 있다.
도형이나 색채에 대하여 발생하는 그와 같은 착오를 시각의 착오 또는 착시(錯視 :
optical illusion)라고 하는데, 여기서는 [그림 3-38]과 같은 기하학적 도형에 관한 착
시의 중요한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가. 각도 또는 방향의 착시


(1) 선의 연장상에 있는 점이 [그림3-38] (a)와 같이 예각(銳角)의 내측(內側)에 들어
가 보인다.
(2) a와 b의 두 선은 일직선이 되는 것같이 그려져 있으나 [그림 3-38] (b)와 같이 서
로 엇갈려서 보인다.
(3) 평행직선이 이것과 각도를 이루는 단선(短線)이기 때문에[그림 3-38] (c, d)와 같
이 굽어 보인다.


나. 분할의 착시


분할된 것은 분할되지 않은 것보다 크게 보인다.
(1) 좌우 어느 것이나 크기가 정방향이지만 [그림 3-38]의 (e)와 같이 횡선의 것은 종
(從)으로 길게, 종선의 것은 횡(橫)으로 길게 보인다.
(2) 중앙에서 [그림 (f)]와 같이 좌측이 점의 배열로 분할되어 있어서 우측보다도 길게
보인다.


다. 대비의 착시


(1) [그림 (g), (h)]와 같이 a, b는 같은 길이이지만 b가 짧게 보인다.
(2) 각각 중앙의 각도는 같으나 [그림 3-39]의 (i)와 같이 우측이 좌측보다 작게 보인다.
(3) [그림 (j), (k)]의 중앙 원형은 각각 같게 그려져 있으나 큰 원으로 둘러싸인 것이
적게 보인다. 이것은 대소(大小)의 대비관계에서 발생하는 착시이다.
라. 상방거리(上方距離)의 과대시(過大視)
같은 크기의 형을 상하로 겹치면 [그림 (l)]과 같이 위쪽의 것이 크게 보인다.


마. 수직 수평의 착시


같은 길이의 선이라도 [그림 (m)]과 같이 수직의 것이 수평의 것보다 크게 보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