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디자인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7. 우리나라 공예 문화의 시대 특징 1

magdaglia 2023. 8. 7. 11:33
728x90
반응형

7. 우리나라 공예 문화의 시대 특징 1

 

가. 삼국시대의 공예
(1) 고구려의 공예
오늘날 만주 통구에 있는 광개토왕비와 고분군, 그리고 평안남도, 황해도 일대에 남아
있는 고분들은 고구려 문화와 그 미술의 영화를 말하고 있는 좋은 자료들이다.
고구려 사람들은 그들 민족이 자라난 만주 벌판의 웅대한 대자연, 그리고 인접한 종족
들과의 싸움을 통하여 길러 낸 늠름한 기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미술도 이 같
은 장대, 용감한 패기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그 위에다 북조 문물(樁朝文物)의 건축이나 회화 같은 분야에서도 웅혼하고 예술의 향
기 높은 작품을 이룩하여 고대 동양에서 독보적 존재로 알려졌으나 공예품으로 남아 있
는 유물이 적어 오늘날 보이는 공예는 수적으로나 질적으로 미약한 편이다.

바리
연꽃무늬 수막대

(2) 백제의 공예
백제의 고유 미술은 신라와 더불어 삼한고지(三韓故地)에서 몇 천 년 동안 서서히 자
라온 민족 전통 위에 서 있으며 그 위에 중국 남조적(南朝的)인 문화가 들어오고 북으로
부터는 고구려를 통해서 북조(樁朝) 문화가 전파되어 매우 높은 문화가 이 땅 위에 자라
났다. 거기에다 높은 불교문화가 겹치니 백제는 찬란한 불교 문화국이 되어 멀리 일본으
로도 그의 문물을 수출하게끔 되었다.
이러한 불교문화는 사찰 건축과 탑, 불상, 불구(佛具) 등에서 눈부신 성과를 이룩하였
으나 오늘날 백제의 사찰과 불상은 대부분 없어지고 몇 개의 탑과 사지(寺址), 불상 그리
고 공예품 등이 남아 있을 뿐이다.

산경문 화상전
귀형문 화상전
톱니무늬 네귀 항아리
신수문 경동

오늘날 남아 있는 백제 공예의 대표적인 유품은 1937년 부여 규암면 폐사지(弊寺址)에
서 출토된 화상전(畵像塼)이다. 이 화상전은 산경문(山景紋)·반용문(蟠橛紋)·봉황문
(鳳凰紋)·와운문(渦雲紋)·연화문(樱花紋) 등 6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각 한 변의 넓이
가 29cm로 된 방형전(方形塼)이다. 이곳에 부각된 조각의 조형 감각은 높고 맑고 단순
한 것이어서 그의 구도와 더불어 완숙한 백제 미술의 완성기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이밖
에 공예품으로는 부장품(副葬品)으로 무덤에서 출토되는 금속 공예품과 토기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공예품으로는 귀고리, 구옥(勾玉)·곡옥(曲玉), 금동판, 관(棺) 장식 등을 들 수
있는데 이것들은 신라, 가락(駕榵) 등 삼한 고지에서 출토되는 것과 공통된 내용과 형식
을 보여주고 있다. 부여 능산리 백제 왕릉에서 출토된 금동관식(榨銅冠飾) 장식과 관식
(冠飾) 장식 등은 그 무늬의 원류가 그리스적인 당초문화 운기문(雲氣紋) 등이 섞인 양식
으로서 일본 법륭사 소장중인 장신문의 원류가 되는 것으로 매우 귀중한 공예품들이다.
(3) 고신라(古新榯)의 공예
신라가 처음 자리 잡은 경주 지방은 반도의 동남방에 기울어졌기 때문에 비교적 외적
의 침입에 대하여 안전하였다. 이러한 좋은 지리적 조건 아래서 성장해 온 신라의 미술
은 국력의 발달과 함께 많은 한족 문화의 영향을 받고 고구려, 백제 등 이웃 미술과 관계
를 맺게 되었다. 또 5세기 후반기부터 새로 들어온 불교의 전래로서 신라 미술은 토속적
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이 새로운 문화는 그들 한족적인 고유문화의 격을 높이고, 고
유의 풍토 양식을 성립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리하여 고신라의 중요 미술품들이 외
래 사상의 터전에 서 있다 하더라도 작품 하나하나의 감각은 신라 고유의 맛이 감도는
것으로 소화되었고, 미술 작품을 다루는 솜씨에 그들의 생활 감정과 풍토미가 아로새겨
지게 되었다.

기마인물형 토기
등잔

 

금제잔
청동 초두

고신라의 공예품은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데, 그것은 당시의 후장(厚葬)의 풍습과 그
것을 간직한 신라의 무덤 구조가 적석총(積石塚)이었으므로 잘 보존되었다는 것 등의 원
인에서이다. 고신라의 공예품으로는 금동장신구류(榨銅裝身具類), 금관, 금귀고리, 금대
(榨帶), 구옥류(勾玉類), 동기류, 토기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순금 공예품이다.
순금 공예품이 가장 많이 출토된 것은 금관총(榨冠塚)이며 그 중에서도 황금 보관(黃
榨 寶冠)은 유명하다. 이것은 띠 금판을 오려서 만든 것이며, 대 위에 5개의 입화형 장식
을 세웠는데 전면의 3개는 출자형(出字形) 가지를 형성하고 후면에 세운 2개는 사슴의
뿔 모양을 형상하였으며 가지의 끝은 전부 보물구슬형으로 되어 있다. 이 입화형(檏華
形)장식에는 전부 둥근 영락편과 비취옥을 금줄로 꼬아 장식하였다.
이러한 형식의 황금 보관은 서봉총, 금령총에서 나온 것과 합하여 모두 3개가 있다.
또 누금세공으로 된 황금 귀고리도 금관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으로 황금 바탕 위에 금싸
라기와 금실로써 엮어 장식한 그 아름다움은 기교와 호화로움을 자랑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것은 보문리 부부총(夫婦塚)에서 나온 것이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