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일반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168. 차량 통신시스템 보안

magdaglia 2023. 7. 25. 14:57
728x90
반응형

168.  차량 통신시스템 보안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자동차에도 다양한 IT 기술이 적용되어 기계 장치뿐 아니라
100MB 이상의 바이너리 코드와 함께 수많은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를 탑재되어 자동차의 조작의 대부분을 전자식으로 제어하고 있다. 자동차의 제
어가 전자식으로 전환됨에 따라 자동차 운전자의 편의성은 비약적으로 증대되었지
만, 과거 폐쇄망 성격을 갖던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가 자동차 내부의
OBD(On-Board
Diagnostic)
단자를 통한 연결이나, 텔레매틱스 서비스로 외부에 개방되었고 이에 따
라 악의적인 해커에 의한 외부 공격 위협성이 증대되었다. 차량 네트워크 환경은 기
존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환경과 달리 네트워크의 보안성 확보여부가 운전자의 생
명과 직결되는 위험 상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하다.

 

가. 차량 통신시스템의 보안 위협
(1) 인증 및 데이터 무결성에 대한 공격
차량의 위치 정보를 거짓으로 조작하여 전송하거나,
GPS 위치정보를 스푸핑
(spoofing)하거나, GPS의 신호 정보를 조작하는 공격, 공격자가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로 위장하는 공격, 차량의 개인키 및 고유정보
(차량ID )에 대한 위변조 및 비
인가된 사용 등이 가능하다.

 

(2) 기밀성에 대한 공격
차량간 통신 메시지 및 차량과 인프라 간의 통신 메시지에 대한 도청 공격,
OBU
RSU의 원거리 업데이트 중에 소프트웨어를 가로채거나, 가로챈 소프트웨어로부터 차
량의 비밀 정보를 유출하는 공격 등이 가능하다.
(3) 프라이버시에 대한 공격
차량 통신 메시지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차량의 소유자, 차량의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 등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공격 등이 가능하다.
(4)가용성에 대한 공격
통신 채널을 점유하여 정상적인 메시지 송수신이 불가능하게 하는 공격,
V2X 통신
에 대한
DDoS 공격, 차량 내부 통신망에 악성 코드를 삽입하는 공격 및 특정 차량에
게 아주 많은 연산이 필요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전송하거나, 저장하기에 너무 큰 메
시지를 다량으로 전송하는 공격 등이 가능하다.

 

나. 차량 통신시스템의 보안 위협 대응
이러한 차량 통신시스템에서의 보안 위협을 회피하고자 차량간 통신에 적합한 프
로토콜인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의 표준화 진행하고 있다.
WAVEIEEE 1609.2 표준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5.5~5.925GHz의 전용 주파수 대
역과 차량의 고속 이동 환경에 적합하도록 기존의 무선랜 규격에 비해 좁아진 채널 대
역폭
(10MHz), 높은 RF 출력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교통 안전 메시지의 빠른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과 트래픽 메시지 전송을 위한 서비스 채널을 구분하는 멀티 채
널 스위칭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IEEE 1609.2에 적용되는 암호알고리즘

명칭 기능 참조 표준 비고
ECDSA 디지털 서명 FIPS 186-3 P-224, P-256
ECIES 공개키 암호화 IEEE 1363a P-256, SHA-256
AES-CCM 대칭키 암호화 FIPS 197
NIST SP 800-38C
 
SHA-256 해시 FIPS 18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