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학과, 통신직 등 정보통신일반 요점 정리 80. B-ISDN
80. B-ISDN
가. B - ISDN의 등장 배경과 표준화
일본의 NTT(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가 세계 최초로 1988년에
N-ISDN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 이후 싱가포르,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등에서도 서
비스가 시작되었다. ITU-T는 1985년 N-ISDN의 표준화를 제정한 이후에 새로운 연
구목표로 B-ISDN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1993년 표준화를 완성하였다. [그림 6-18] 은 B-ISDN의 표준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나. B-ISDN의 개념과 구조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대역을 사용한다
는 의미를 가지는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은 [그림 6-19]와 같이 고속 광역
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고속 전송 기술, 교환 방식 기술, 신호 기
술, 반도체 기술, 그리고 영상 기술 등을 통합하여 서비스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이다.
이러한 고속 광역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B-ISDN은 [그림 6-20]
과 같이 155.52Mbps 및 622.08Mbps 속도의 전송을 위한 ATM, 광섬유 케이블, 동기
식 디지털 계층(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등을 채택하여 사용한다.
한편 B-ISDN은 신호를 수용하는 능력에 따라 상위 계층 능력과 하위 계층 능력으
로 나누어지는데, 상위 계층 능력에는 단말기나 종단 장치가 포함되며, 하위 계층 능
력에는 광대역 능력(Broadband Capabilities)과 협대역 능력(Narrowband Capabilities),
국(스테이션) 간 신호 능력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광대역 능력이란 ATM으로 정보
를 전송하는 능력을 말하고, 협대역 능력은 64Kbps 기반의 N-ISDN을 이용하여 회선
을 교환하거나 패킷을 교환하는 능력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국 간 신호 능력은 ATM
으로 교환기 또는 교환국간에 전달되는 신호 능력을 말한다. [그림 6-21]은 신호 수용
능력에 따른 B-ISDN의 상위 계층 능력 및 하위 계층 능력을 나타내고 있다.
다. B-ISDN의 프로토콜
(1) B-ISDN 프로토콜 참조 모델
B-ISDN 프로토콜은 관리 평면, 제어 평면, 사용자 평면으로
구성된 프로토콜 참조 모델(PRM, Protocol Reference Model)이 사용된다. 관리 평면
(management plane)은 다시 평면 관리와 계층 관리로 나누어지며, 평면 관리는 시스
템 전반을 관리하고 계층 관리에서는 자원과 사용 변수를 관리한다. 제어 평면(control
plane)은 호 제어와 연결 제어 정보 등을 담당하며,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서는 사
용자의 정보를 전달한다.
(2) B-ISDN 프로토콜의 계층별 기능
[그림 6-22]를 참조하면,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4계층 구조이며, 여기에는 물리 계층, ATM 계층, AAL(ATM Adaptation Layer), 그
리고 상위 계층이 포함된다. 물리계층은 다시 물리 매체(PM, Physical Media) 부계층
과 전송 수렴(TC, Transmission Convergence) 부계층으로 나누어지며, AAL은 수렴
부계층(CS, Convergence Sublayer), 분할과 재합성 부계층(SAR,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ublayer)으로 나누어진다. 각 계층에서는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물
리 계층은 셀 분리 기능, 셀 경계 식별 기능, 전송 프레임 발생과 복원 기능 등을 수
행한다. 2계층인 ATM 계층에서는 ATM 셀의 헤더와 관련된 기능을 포함하여 흐름
제어 기능, 셀 헤더 생성과 추출 기능, 셀 다중화와 역다중화 기능, 셀의 가상 채널
식별자(VCI)와 가상 경로 식별자(VPI) 번역 기능, 비트 전송 등을 수행한다. AAL에
서는 상위 계층의 사용자 정보를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Protocol Data Unit)로
만들어 주는 기능과 PDU를 분리하여 ATM 셀의 사용자 정보 단위를 구성하는 기능
을 수행하며, 마지막인 상위 계층에서는 상위계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의 B-ISDN 프로토콜의 계층별 기능은 [표 6-7]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B-ISDN 프로토콜의 계층별 기능>
(3) B-ISDN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치 관계
B-ISDN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는 사용자-네트워크 인터
페이스(UNI, User Network Interface)가 포함되어 있다. 반면, 제어 평면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는 네트워크-노드 인터페이스(NNI, Network Node Interface)와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있으며, 여기에서 네트워크-노드 인터페이스는 네트
워크에 있는 교환 장치나 다중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노드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결정한다. [그림 6-23]은 위에서 설명한 사용
자 평면 프로토콜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치의 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4) B-ISDN 프로토콜에서 계층 간 관계
[그림 6-24]는 B-ISDN 프로토콜에서 계층 간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위계
층에서의 사용자 정보는 AAL 계층의 첫 번째 부(sub) 계층에서 CS 헤더와 CS 트레일
러가 추가되어 캡슐화가 이루어지고 두 번째 부 계층에서 다시 SAR 헤더와 SAR 트
레일러가 추가된다. 이렇게 추가된 데이터는 ATM 계층에서 ATM 셀로 구성되어 물
리계층으로 전달된다.